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15일 중국이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무역전쟁 이후 7년 동안 관세 문제에 대비해 왔다고 보도했다. 나아가 '미국 없이도 돌아갈 수 있는 경제'를 목표로 구조 전환을 꾀했다고 분석했다.
여기엔 특히 중국이 무력을 동원한 대만 통일에 나섰다가 경제 제재가 부과되는 상황까지 고려해 경제적 측면에서 '탈미국'을 추진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중국 앞에서 협상 기술의 한계를 드러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중국은 미국 선거 일정과 희토류 공급망 등도 염두에 두고 관세 전쟁에서 미국보다 오래 버틸 수 있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닛케이는 "내년 가을 미국 중간 선거를 앞두고 미국 국민에게는 크리스마스가 중요하다"며 이때 팔리는 중국 잡화 주문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가 6월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매우 높은 관세가 지속되면 미국 소비자는 올해 연말에 상품 부족으로 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이 실패했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최악의 사태가 올 수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또 중국은 관세 전쟁 과정에서 희토류도 유용하게 활용했다. 이에 대해 닛케이는 중국 희토류가 없으면 미국 정보통신(IT) 산업과 군수 산업이 곤경에 빠질 수 있다고 봤다.
중국은 1차 무역전쟁 이후 대미 수출 비중을 크게 낮춰 2018년 19.2%에서 지난해 14.7%로 줄었다. 중국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을 비롯한 다른 지역 수출을 늘리면서 미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를 줄였다. 수입에서도 대미 비중을 줄이는 작업을 추진했다. 농산물의 경우 대두(콩)는 브라질산 수입을 늘렸고 밀은 중앙아시아 등지에서 생산 기술을 지원했다.
닛케이는 "중국은 '과학기술의 자립자강'이라는 목표 아래에 산업 구조 전환도 진행했다"며 "첨단기술 분야의 대중국 수출 금지에 대비하는 동시에 노동 집약적 수출형 경제의 탈피를 모색했다"고 짚었다.
다만 닛케이는 "중국 수출 산업의 부담도 크다"며 "미국과 중국이 모두 체면을 내세워 싸운 관세 전쟁의 대가는 끝이 보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규화기자 david@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