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60.9%는 신입사원이 1~3년 내 퇴사하는 '조기 퇴사'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크루트는 인사 담당자 446명을 대상으로 신입사원 조기 퇴사에 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먼저 신입사원 1명 기준으로 채용부터 실무 투입까지 전 과정의 채용 비용을 물었다. 1위는 50만원 이하(35.9%), 2위는 300만원 초과(21.5%)였다. 인크루트는 "기업마다 채용 비용의 격차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다음으로 50만~100만원(17.5%), 200만~300만원(12.6%), 100만~200만원(12.6%) 순이었다.
조기 퇴사한 신입사원의 평균 근속 기간은 1~3년이 60.9%로 가장 많았다. 이어 4개월~1년 미만이 32.9%, 3개월 이하는 6.3%였다.
인사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이유(복수응답) 1위는 58.9%로 '직무 적합성 불일치'였다. 2위는 42.5%로 '낮은 연봉', 3위는 26.6%로 '맞지 않은 사내 문화'의 이유를 꼽았다. 그 외 상사 및 동료 인간 관계(23.4%), 워라밸 부족(17.1%), 기타(7.7%) 순이었다.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가 조직의 분위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80.5%가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응답했다.
영향을 준다고 응답한 이유로는 '시간과 자원의 비효율성(37.6%)'을 가장 많이 답했다. 다음으로 32.0%를 차지한 '재직자들의 업무 부담 상승'을 이유를 꼽았다. 또 조직 문화 및 팀워크의 약화(15.9%), 재직자의 퇴사율 상승(13.9%) 순이었다.인사담당자의 34.5%는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를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답했다. 운영 프로그램으로는 장려금 및 포상 휴가 지급(52.6%), 멘토링 제도 운영(38.3%), 온보딩 프로그램 운영(37.0%) 등이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4월 14일부터 16일까지 시행했으며 신뢰 수준 95%에 표본오차 ±4.43%p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