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산업 성장 및 TFP 생산성 추이. KISDI 제공
우리나라 전산업 성장 및 TFP 생산성 추이. KISDI 제공


대내외적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증대하는 가운데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지식 기반 무형 자산 등에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4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디지털 시대 경제구조 변화에 대응한 국가성장전략 연구: 2024년 산업별 생산성 계정 구축 및 디지털시대 성장기여 분석(1981-2023)'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 수준의 저성장 구조에 들어섰다.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가계부채 및 정부부채의 증가, 고령화 등으로 경제·사회구조가 변화하고 있고 대외적으로 미중 기술패권 경쟁, 보호무역주의, 국제분쟁 등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한국경제 성장률 저하의 가장 큰 요인으로는 그간 우리나라 경제를 견인해온 제조업 부문의 총요소생산성(TFP) 둔화가 꼽힌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비스업 부문은 과거에 비해 생산성 개선 흐름을 보였지만 산업 성장률이 제조업을 하회한다는 한계가 있다. 반면, ICT 산업은 여전히 우리나라의 확고한 주력산업으로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TFP 생산성과 연구개발 투자 등 지식기반 무형자산의 성장기여 역시 높았다.

보고서는 디지털 활용(디지털 집중도)이 산업별 성장에 미치는 효과도 제시했다. 디지털 활용도가 높은 산업일수록 부가가치 성장률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뚜렷했고, 이는 디지털 기술 도입이 기업의 혁신과 생산능력 확대로 이어져 성장에 기여하고 있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코로나19 위기를 거치며 디지털 기술과 지식기반 무형자산의 성장 기여가 확대됐다. 보고서는 "산업 전반에서 지식기반 무형자산 투자가 양적으로 확대되고 인공지능(AI), SW 등 ICT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실질적인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게 하려면 ICT와 무형자산 같은 질 좋은 자산에 대한 양적 투자 확대뿐만 아니라 투자의 질적 성과를 높이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정현준 연구위원은 "생산성 개선을 위해서는 ICT와 지식기반 무형자산과 같은 질 좋은 투자로의 전환, 인적자본의 강화와 노동시장의 효율성 개선, 신성장동력의 발굴 유기적인 민관 협력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김나인기자 silkni@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나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