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환율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관세 리스크가 커지면서 국내 식품·유통 중소기업들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당장 미국이 상호관세 적용을 90일 유예하기는 했지만 관세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다.
13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하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지난달 127.1을 기록하며 3개월 연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기업의 경우 통상적으로 생산 원가에서 원재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60~70%에 달해 재료 수입 단가가 오르게 되면 수익성 악화로 직결된다.
일각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10% 오를 경우 세후 이익이 많게는 100억원 이상 감소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는 최근 식품기업들이 잇따라 가격 인상을 단행한 이유이기도 하다. 커피 원두를 비롯해 코코아 등 원재료 가격이 오르면서 커피 프랜차이즈를 비롯한 초콜릿 가공기업들이 제품 가격 인상에 나선 바 있다.
중소기업들의 경우 환율 리스크 역시 짊어지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1월 중소기업 360곳을 대상으로 고환율 실태조사를 한 결과 중소기업 두 곳 중 한 곳(51.4%)이 최근 환율 급등으로 피해가 발생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익이 발생한 중소기업은 13.3%에 그쳤다.
만약 수출 위주의 사업구조라면 고관세로 인한 영업이익 감소도 우려된다. 자동차 부품 제조업의 경우, 북미 수출 물량이 많은데 관세가 발목을 잡고 있는 상황이다.
화장품 업계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화장품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지금까지 무관세로 제품을 수출해왔으나 상호관세가 적용되면 관세가 부과된다. 여기에 판매와 비용을 모두 달러로 결제하는 패션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업체들도 셈법이 복잡한 상황이다.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면세 업계 역시 비상이다. 환율이 오르게 되면 면세 쇼핑의 가장 큰 이점인 가격 경쟁력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달러 기준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면세점은 환율이 실시간 가격에 반영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일부 제품의 경우 백화점보다 더 비싼 가격 역전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해외에서 식품을 수입하는 대형마트의 경우 환율 대응에 선제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마트는 일부 제품의 수입 지역을 바꾸거나 추가했고, 롯데마트는 제품 크기를 조정하는 방안을 채택하기도 했다. 홈플러스는 연간 계약과 산지 다변화, 사전 수매 등을 적극 추진하며 원가 인상분을 상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