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소상공인 상생사업인 '프로젝트 단골'로 이뤄낸 '골목상권 디지털 전환' 성공사례를 국제 무대에 선보였다. 13일 카카오에 따르면 지난 1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경제협력개발기구(OCED) 본부에서 열린 '디지털 포 SME(중소상공인)s 이니셔티브' 회의에 아시아 유일 공식 민간 협력사로 참여해, 소상공인 상생 사례인 '프로젝트 단골'을 소개했다.

'디지털 및 인공지능(AI) 도입을 통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주제로 열린 이번 회의에서 카카오는 전통시장과 지역 상권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해 온 '프로젝트 단골'의 성과를 소개했다. 발표자로 나선 김은화 상생사업 리더는 "지금까지 212개 전통시장과 15개 지역 상권을 지원했으며, 지난해 우수시장으로 선정된 시장들은 각각 1만 명 이상의 단골을 확보했다"며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유통학회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프로젝트 참여 전통시장은 3년 평균 매출이 미참여 시장 대비 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프로젝트에 참여한 서울 북촌 계동길 상인회 김용조 회장이 발표자로 나서 세계 각국 정부, 플랫폼 기업, 중소기업, 학계 전문가들에게 현장 경험을 전했다. 김 회장은 "카카오 덕에 하루 1만명이 오가던 골목상권에서 5000명 이상을 단골로 확보하고, 온라인 소통도 시작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또한 "전통적인 방식에서 디지털 상거래로 전환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며, 상인들이 디지털 도구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얻었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이와 함께 디지털 기술 기반의 중소기업 지원 전략도 발표했다. 카카오 단골만들기 지원센터에서는 정부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지원 정책을 안내하고, 자회사 디케이테크인을 통해 기술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돕고 있다. 올해 출시되는 기업용 솔루션 '카카오워크 2.0'에는 AI 업무 지원 기능을 추가해, 중소기업에서 AI 기술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김은화 카카오 리더는 "카카오의 상생 노력이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기회를 얻었다"며 "앞으로도 소상공인이 디지털 환경 속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김미경기자 the13ook@dt.co.kr



김은화 카카오 상생사업 리더가 1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OECD본부에서 열린 'D4SME' 회의에서 '프로젝트 단골'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카카오 제공
김은화 카카오 상생사업 리더가 1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OECD본부에서 열린 'D4SME' 회의에서 '프로젝트 단골'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카카오 제공
김은화 카카오 상생사업 리더가 1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OECD본부에서 열린 'D4SME' 회의에서 '프로젝트 단골'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카카오 제공
김은화 카카오 상생사업 리더가 1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OECD본부에서 열린 'D4SME' 회의에서 '프로젝트 단골'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카카오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