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공사, 디지털 기반 스마트 물관리 기술 소개
국제 국회의장단이 한강유역본부 물종합상황실을 방문해, 한국의 물관리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
국제 국회의장단이 한강유역본부 물종합상황실을 방문해, 한국의 물관리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
전 세계 36개국 전·현직 국회의장으로 구성된 국제 국회의장단이 첨단 물관리 기술혁신이 이뤄지고 있는 실증 현장을 찾았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 11일, 파키스탄의 전 총리이자 현 상원의장인 유수프 라자 길라니 의장을 포함한 국제국회의장회의 대표단 12명이 경기도 과천 한강유역본부에 위치한 물종합상황실을 방문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대표단의 방문은 기후위기에 따른 글로벌 물 문제 해결을 위한 선진 물관리 기술 견학과 국제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이뤄졌다.

이날 윤석대 사장은 수공의 디지털 기반 스마트 물관리 기술을 대표단에 공유했다. 수공은 물관리 디지털트윈, 인공지능(AI) 정수장, 스마트 관망관리(SWNM)의 3대 초격차 기술과 글로벌 선도기술을 선보였다.

대표단은 물종합상황실에 구현된 물관리 디지털트윈 기반 시스템을 직접 살펴보며, 공사의 과학적 통합물관리 역량을 집중적으로 확인했다. 물관리 디지털트윈은 실제 수자원 환경을 디지털 가상공간으로 구현해, 강우량, 하천 수위, 댐 운영현황 등 유역 내 모든 물관리 요소를 실시간으로 연계해 분석·예측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

윤석대 수공 사장은 "이번 국제국회의장단 방문을 글로벌 협력 확대의 계기로 삼아 물 분야에서 리더십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과 미래 산업의 새로운 기회를 창출해 가겠다"고 말했다.

세종=강승구기자 kang@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강승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