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해제·주담대 증가 영향 제2금융권 대출도 1조원 증가 "서울 집값 상승에 거래량 늘어"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이 4조원 넘게 급증하며 한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늘면서 은행과 제2금융권 모두 큰 폭으로 불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빚투(빚내서 투자)'가 늘어난데다 신학기 이사 수요 등이 맞물린 영향이다.
12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월 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4조3000억원 늘며 전달(-9000억원) 대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 1월에는 10개월 만에 감소했다.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14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달보다 3조3000억원이 늘었다. 지난 1월까지 두달 연속 줄었지만 다시 상승 전환했다.
전달 5000억원 감소했던 제2금융권 가계대출도 1조원 증가로 돌아섰다. 특히 상호금융(+8000억원)과 여전사(+3000억원)의 증가 폭이 컸다. 저축은행은 2000억원에서 -200억원으로 감소세로 전환했고, 보험은 -5000억원에서 -1000억원으로 감소 폭이 축소했다.
전 금융권 주담대는 5조원 증가해 전월(3조2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확대했다. 2월말 은행권 주담대 잔액은 907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가액 3조5000억원으로 지난 1월(1조7000억원)보다 증가폭이 배 이상 커졌다. 정책금융을 제외한 은행 자체 주담대도 -6000억원에서 6000억원으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은행의 전세자금대출도 늘어났다. 작년 12월 전세대출은 보합세를 이뤘지만 지난 1월 4000억원 증가한 후 2월에는 1조2000억원 증가했다. 은행권 기준으로 전세대출은 2022년 2월 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제2금융권은 주담대가 전달과 같은 수준인 1조5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의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6000억원 감소하며 전달(-4조1000억원) 대비 감소 폭이 축소했다. 신용대출이 마이너스(-)1조5000억원에서 1000억원으로 증가세로 돌아선 영향이 컸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토허제 해제 후 서울아파트 가격이 일부 확대되고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가계대출은 주택거래량이 가장 중요한데, 서울 거래량이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 증가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