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개발' 사업 공모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1식에 집중...향후 6년간 3200억원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의 핵심기술을 자립화하고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인 지원에 나선다.

과기정통부는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개발' 사업을 공모한다고 27일 밝혔다. 6G 국제표준 기반의 국내 독자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고 우리나라의 핵심기술을 자립화, 글로벌 시장진출 역량을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사업은 저궤도 통신위성과 지상국·단말국으로 구성된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1식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번 사업으로 위성과 지상간, 위성과 위성간 통신 기능을 수행할 △통신탑재체 △지상국 △단말국과 이를 보조하는 △본체 △위성 체계종합 등을 개발한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지진, 화재, 전쟁 등으로 지상 통신망이 마비되는 재난 상황에서 효과적인 대안으로 주목받으며 국가 안전과 안보 측면에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위성통신 산업은 기술적 난이도가 높고, 막대한 투자 비용과 실패 위험 부담이 큰 산업이라, 국내 기업이 독자적으로 투자하기에는 부담이 크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정부 차원의 전략적인 지원이 필수다.

과기정통부는 올해부터 향후 6년 동안 총 3200억원(국비 3004억원, 민자 196억원)을 3개 과제로 나눠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최종 3개의 주관연구개발 기관을 선정한다.

이번 사업으로 위성통신 관련 핵심기술 개발을 시작하고, 2030년경에 6G 기반의 저궤도 통신위성을 선제적으로 발사해 핵심기술을 자립화하고, 글로벌 시장진출의 역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이동·위성통신 부품기업들의 참여를 확대하여 핵심기술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출연연구소의 축적된 기술을 민간에 적극적으로 이전·확산하며 우주검증 이력 기회를 제공하는 등 국제표준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에 대한 집중적인 R&D 투자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이겠다"면서 "양산 단계에서 비용 절감에 필요한 핵심기술 확보를 병행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김영욱기자 wook95@dt.co.kr

향후 6년간 연차별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로드맵. 과기정통부 제공
향후 6년간 연차별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로드맵. 과기정통부 제공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구성도. 과기정통부 제공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구성도. 과기정통부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영욱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