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액티브자산운용]](https://wimg.dt.co.kr/news/legacy/contents/images/202501/2025012102109963062005[1].jpg)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에도 KoAct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가 높은 성과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은 미국 전력 산업 전반에 대한 투자를 꾸준히 늘려온 전략이 유효했다. 해당 ETF는 신재생에너지 뿐만 아니라 천연가스와 원자력 등 저탄소에너지에도 투자하며, 전력인프라에도 큰 비중을 투자하고 있다. AI 산업으로 인해 미국 전력 수요가 전례 없이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이를 지원하기 위해 전력망 현대화를 적극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해당 기업들의 주가가 견조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투자 기업으로는 GE 버노바(가스·풍력터빈, 전력기기), 블룸에너지 (SOFC 연료전지), 테슬라(전기차, ESS), 퍼스트 솔라(유틸리티 태양광 모듈), 지멘스 에너지(가스·풍력터빈, 전력기기) 등의 기업들이 포함돼 있다.
김효식 삼성액티브자산운용 운용2팀장은 "전력인프라섹터와 천연가스 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을 확대한 전략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AI 산업 발달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전력망에 대한 투자가 필수적인데, 미국 전력망은 대부분이 1960~70년대에 구축된 것이라 업그레이드가 시급하다. 실제로, NextEra Energy 같은 미국 발전 유틸리티 회사들의 향후 계획에 따르면 202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전력망과 발전소에 대한 투자가 더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전력인프라 섹터에 대한 투자는 상당기간 유효하다는 것이다.
미국 천연가스 산업에 대해서도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급증하는 전력 수요를 재생에너지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워지면서 2023년부터 원자력 발전소와 전력구매계약을 맺고 있는데, 이러한 전력 확보 움직임이 최근에는 천연가스 발전소로 확대되고 있다. 이미 작년 하반기부터 Enbridge나 Vistra 같은 미국의 주요 가스 관련 업체들이 빅테크들과 협력 논의가 구체화되고 있음을 밝힌 바 있다.
김 팀장은 "전력생산과 전력인프라 산업은 전기차 확대 지속과 더불어 AI분야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상당기간 높은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KoAct 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도 신재생에너지 분야 뿐만 아니라 천연가스, 원자력 등 저탄소에너지산업과 전력인프라 섹터를 포괄한 선제적인 투자로 높은 성과를 투자자들께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영기자 jy1008@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