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A노선인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이 지난달 28일 운행을 시작했지만, 아파트 거래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부동산 프롭테크 기업 '직방'이 아파트 종합 정보 플랫폼 호갱노노를 통해 분석한 결과, 운정중앙역 인근 힐스테이트운정, 운정신도시센트럴푸르지오, 운정신도시아이파크 등 이른바 '힐·푸·아'의 호갱노노 방문자 수는 12월 넷째 주(23~29일) 기준 2만81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개통 전인 12월 셋째 주 방문자 8302명과 비교해 3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아울러 개통일 이후 지난 8일까지 12일 동안 '힐·푸·아'에 등록된 호갱노노 이야기 수는 281개로 직전 동기간(84개)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GTX-A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은 작년 3월 첫 개통한 수서~동탄에 이어 두 번째로 운행을 시작한 구간이다. 파주운정신도시에서 서울역까지 22분 주파가 가능해졌고, 배차 간격 역시 약 10분으로 경의선 급행(30분)보다 짧은 데다 추후 출퇴근 시간대 6분 간격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다만 늘어난 매매 문의와 비교해 거래는 늘지 않은 모습이다. 인근 단지의 최근 월별 거래량을 살펴보면 10월 45건이었던 매매거래량은 11월, 12월 각각 25건에 그쳤다.

가격 역시 최근 수도권 아파트 거래시장이 위축돼 있는 가운데 급매물 또는 저층 급매물 거래 위주로 거래가 되다 보니 인근 7개 단지의 지난달 평균 3.3㎡당 매매가격은 2739만원으로 파악됐다. 작년 10월 이후 하락세를 보였다.

거래는 늘지 않았지만 운정중앙역 인근 단지들의 호가 상승세는 뚜렷하다는 지적이다. 전용 59㎡ 기준 5억원 초중반이었던 매물은 최근 5억 후반에서 6억원, 전용 84㎡는 8억원대 매물도 출시되고 있다. 직방 측은 인근 중개업소를 인용해 "GTX역 인근 '힐·푸·아'를 비롯해 초롱꽃마을 일대 위주로 문의가 많이 오고 있다. 이들 모두 입주 5년차 이내의 신축 단지로 운정중앙역 개통 전후로 문의가 늘었다"고 전세를 낀 갭투자 수요가 많다고 전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교통 호재의 경우 타당성 평가, 착공 등 오랜 기간에 걸쳐 프리미엄이 이미 반영됐기 때문에 개통으로 인해 즉각적으로 가격이 오르지 않는다"면서도 "입지 개선 측면에서 임차 수요는 꾸준히 유지될 가능성이 높고 추후 상승장 진입 후 수요 유입에 따른 가격 반응 속도가 종전보다는 빠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GTX-A 2026년 전 구간 운행, 2028년 삼성역 개통, 2030년 창릉역 개통 등 순차 개통과 관련해 김 랩장은 "경기 북부와 서울 도심을 관통해 경기 남부까지 이어지는 유례없는 수도권 광역 철도망이 갖춰진다면 주요 정차역 일대 부동산 시장의 판도가 어떻게 변화할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말했다.

권준영기자 kjykjy@dt.co.kr

부동산 프롭테크 기업 '직방'이 운영하는 '호갱노노'가 분석한 운정중앙역 인근 단지 정보 방문자수 추이. [직방 제공]
부동산 프롭테크 기업 '직방'이 운영하는 '호갱노노'가 분석한 운정중앙역 인근 단지 정보 방문자수 추이. [직방 제공]
[연합뉴스]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권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