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진원, 2024 웹툰산업 실태조사 발간
웹툰산업 규모 추이. 콘진원 제공
웹툰산업 규모 추이. 콘진원 제공
K-웹툰산업의 연간 매출 규모가 2조원을 돌파했다.

웹툰 작가의 연간 수입은 중윗값이 3800만원으로 집계됐다. 작가 중 절반 가량이 3000만~5000만원을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은 국내 웹툰산업의 실태를 조사한 '2024 웹툰산업 실태조사'를 발간했다.

웹툰산업 실태조사는 △사업체 △작가 △불법유통 실태조사로 이뤄졌다. 웹툰 사업체(플랫폼, CP 등) 160곳, 작가 800명, 이용자 1,03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대면조사를 진행했으며, 표적집단면접법(FGI)과 개별심층인터뷰(IDI)도 실시했다.

2023년 웹툰산업 매출액 규모는 전년대비 19.7% 성장한 2조1890억원을 기록했다. 실태조사를 시작한 2018년 이래 6년간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전체 산업 가운데 플랫폼은 전년대비 25% 증가한 1조 4094억원을 기록했다.

웹툰 수출 비중이 높은 국가는 일본(40.3%), 북미(19.7%), 중화권(15.6%), 동남아시아(12.3%), 유럽(8.2%)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 비중은 전년대비 다소 감소했고, 북미는 6.2%포인트 증가했다.

2023년 1년 내내 작품을 연재한 경험이 있는 웹툰 작가의 총수입 중위값은 3800만원이다. 3000만원~5000만원 비율이 50.4%였다. 수입이 5000만원 이상이라고 답한 비율은 29.3%, 2000만원 미만은 7.5%다. 연간 해외 수입 비중은 평균 6.8%로 조사됐다.

작가들의 계약형태는 작품 당 연재(상대방에게 지식재산권 허락)가 54.8%로 전년대비 10.7%포인트 감소했지만, 근로계약이 전년대비 15.1%포인트 증가한 25.9%로 조사됐다. 작가들의 계약형태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웹툰 작가가 일주일 중 창작하는 평균 일수는 5.9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고, 일주일 내내 작업하는 비율은 6.2%포인트 감소한 26.9%로 나타났다. 평균 작업 소요 시간은 10.1시간으로 0.6시간 증가했으나, 한 회당 제작 일수는 6.3일로 1.9일 줄었다.

표준계약서 활용 인식은 높아졌다. 표준계약서를 그대로 활용하거나 수정·보완해 활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사업체가 86.4%, 작가는 61.0%로 모두 늘었다. 2022년 조사에서는 사업체가 81.9%, 작가가 48.7%였다.

웹툰 제작 시 인공지능(AI) 활용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사업체 중 63.8%가 활용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나 작가는 36.1%로 낮은 비중을 보였다. 정부지원을 통한 AI 교육 및 컨설팅 참여 의향 또한 사업체 70.4%, 작가 46.5%로 전년과 비교해 대폭 늘었다.

콘진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웹툰산업 벤처기업 육성 및 웹툰 해외진출 전시·번역 지원 등 기존 사업과 더불어 △글로벌 웹툰 IP 제작지원 △현지화 콘텐츠 발굴 지원 △다양성 만화 제작지원 △창작 초기단계 제작지원 등 다양한 신규 사업을 시행하고, 웹툰산업 활성화 정책 마련에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김미경기자 the13ook@dt.co.kr



웹툰 작가 연간 총수입. 2023년 기준. 콘진원 제공
웹툰 작가 연간 총수입. 2023년 기준. 콘진원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