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관계자들이 수색작업을 펼치고 있다.  [연합뉴스]
30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관계자들이 수색작업을 펼치고 있다. [연합뉴스]


무안 공항 참사는 '정치 공항'이 희생자를 키웠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선거에서 표를 얻기 위한 정치적 목적으로 건설된 포퓰리즘 공항이 제대로 된 시설이나 안전장비 등을 갖추지 못해 참사 규모가 커졌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금도 우후죽순 격으로 정치인들의 입김에 의해 추진되는 지방 공항 건설 계획은 이번 기회에 전면 재검토하는 게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안 공항은 인근에 갯벌과 호수 등 대규모 철새 도래지가 네 군데나 있다. 따라서 이착륙 항공편 대비 조류 충돌 발생률이 0.09%로 전국 공항 중 가장 높다. 2020년 전략환경영향평가 때도 "항공기가 이착륙할 때 기체가 조류와 충돌할 위험이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 바 있다. 반면 조류탐지 레이더와 열화상 탐지기가 없으며, 조류 퇴치 인력도 4명뿐이다. 김포공항 23명, 제주 20명, 김해 16명 등과 비교하면 현저히 적다.게다가 무안공항은 제1활주로 길이가 2800m로, 인천공항(3750~4000m)보다 25~30% 정도 짧다. 여기에 활주로를 3160m로 늘리는 공사를 진행하면서 실제 이용 가능한 활주로 길이는 2500m 남짓에 불과했다. 또하나 논란이 되는 구조물은 비행기가 부딪쳐 이번 참사의 결정적 원인인 된 활주로 끝의 콘크리트 벽이다. 활주로 종단 안전구역 외곽의 활주로 끝단에서 약 251m 거리에 있는 이 시설은 비행기가 방위를 계기판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신호를 주는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다. 국토교통부는 여수공항과 청주공항 등에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방위각 시설이 있다고 설명했지만, 활주로에서 200여 m 떨어진 곳에 단단한 물체가 있다는 건 어느 공항에서도 본 적이 없는 일이라는 전문가 지적이 나온다. 김대중 정부 시절인 1999년 착공해 2007년 11월 개항한 무안 공항은 호남 기업인 금호건설이 시공사로 선정되는 등 선심성 공약에 의한 '정치 공항'이라는 비판이 많았다. 50㎞ 정도 떨어진 곳에 광주 공항이 있는데 굳이 무안에 공항을 지을 필요가 있나는 지적도 적지 않았다. 이용객이 한해 24만여명(2023년 기준)에 그쳐 '고추 말리는 공항'이라는 오명을 쓰기도 했다.

전국에 KTX망이 깔려 고속철 시대가 열리면서 지방 공항의 경제성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그런데도 정치인들은 저마다 신공항 건설을 내세우며 혈세를 낭비하고 있다. 국내 15개 공항 중 흑자를 내는 공항은 인천·김포·제주·김해·대구 등 다섯 곳에 불과하다. 전국에서 추진되는 신공항 건설 사업만 대구경북, 서산, 백령도, 새만금, 제주2, 울릉도, 경기국제, 포천 등 10개에 달한다. 이번 기회에 정부와 정치권은 무리한 '정치 공항' 건설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 그게 국민 생명을 지키고, 혈세 낭비도 막는 길이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