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공백 사태가 장기화할 전망이다. 내년도 3월 수련을 시작하는 전공의(레지던트 1년 차) 모집 지원율이 고작 8.7%에 그쳤다. 더욱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가 맞물리며 의정갈등은 출구 없는 터널 속을 향하고 있다.
1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전공의 레지던트 1년차 모집 마감 결과 총 314명이 지원한 것으로 집계됐다.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모집 정원이 3594명인 것을 고려하면, 지원율은 10%를 채 넘기지 못했다.
서울대학교병원, 신촌세브란스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이른바 '빅5' 병원 지원율도 8.7%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193명, 비수도권 121명이 지원했다.
전공의들은 2월부터 의과대학 입학 정원 증원에 반대하면서 병원을 떠났다. 이후 10개월째 의대 증원 재검토, 백지화 등을 외치며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현재 전국 211개 수련병원의 1만3531명의 전공의 중 출근한 전공의는 1172명에 불과하다. 출근율은 8.7% 수준이다. 인턴의 경우 3068명 중 3.3%, 레지던트는 1만463명 중 10.2%만이 출근한 상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에 의정갈등을 더욱 격화하고 있다. '의료진 처단' 문구가 포함된 비상계엄 포고령 때문이다. 해당 표현을 두고 전공의와 휴학생들까지 집회·시위에 나서 의대 증원 백지화를 요구할 만큼, 의료계 반발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의사 관련 단체는 모두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참여를 거부했다. 의대 교수들도 나서 "내란 관여자의 지시로 행해지는 정부의 모든 정책에 대한 참여·자문은 단호히 거부한다"고 비판했다.
의사 인력 부족 장기화가 현실화하는 모습이다. 내년 1월 22일부터 원서를 받는 인턴 모집에서도 지원자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환자 피해는 나날이 커지고 있다. 지난 9일 기준 복지부가 운영하는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 접수된 상담 건수는 총 5498건이다. 이중 피해신고서가 접수된 건수는 917건이다. 수술지연 504건, 입원지연 44건, 진료차질 216건, 진료거절 153건 등으로 집계됐다.세종=이민우기자 mw38@dt.co.kr
3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 병원에 전공의 전용공간이라고 쓰인 안내판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