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상계엄의 여파로 내각 전원이 사의를 표명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한덕수 국무총리와 각 부처 장관들은 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만나 내각 총사퇴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국무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 전원이 사의를 표명했다. 한 총리는 "작금의 상황에 이르게 된 모든 과정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며 "마지막 순간까지 국무위원들과 중지를 모아 국민을 섬기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정진석 비서실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성태윤 정책실장 등 3실장과 수석비서관 이상 고위 참모진도 일괄 사의를 표명했다. 내각 총사퇴는 혼란과 국민적 불안을 해소하고, 국정 운영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문제는 '6시간' 비상계엄이 남긴 후유증이 너무 크다는 점이다. 특히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됐다. 간밤 예상치 못한 비상계엄 선포와 해제 소동의 충격파로 이날 국내 금융시장은 종일 크게 출렁였다. 코스피는 전날보다 1.97% 떨어진 2450.76으로 출발한 뒤 다소 낙폭을 줄여 1.44% 하락한 2464.00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이 4090억원을 순매도하며 하락장을 주도했다. 원·달러 환율은 2년여 만에 주간 거래 종가 기준 1410원대로 올라섰다. 시간이 갈수록 금융시장이 안정을 찾는 모습이었지만 이번 사태의 후유증이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외국인 자금 이탈, 환율 변동성 확대, 소비심리 위축, 국가 신뢰도 저하 등이다. 이에 삼성, SK, LG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은 향후 정세를 면밀히 주시하며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글로벌 경제 여건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윤 대통령의 '계엄 리스크'까지 덮치면서 경제적 충격이 가중될 것이란 우려가 크다.
내각 총사퇴가 현실화된다 해도 경제는 흔들림 없이 돌아가야 한다. 가뜩이나 먹고살기가 힘든데 경제 먹구름이 더 짙어진다면 국민 삶은 한층 피폐해질 것이다. 퇴진을 앞두고 있지만은 내각은 국민을 위한 마지막 소임을 완수해야 한다. 경제 충격이 없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비상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주요 경제정책을 일관되게 유지함으로써 국가 신인도를 유지하고, 시장에 안정적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이것이 국민에 대한 마지막 예의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