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조 들여 대개조…'100층 랜드마크' 용산국제업무지구 내년 삽 뜬다
10여년 만에 서울 중심부 용산국제업무지구(옛 용산철도정비창) 개발사업이 다시 추진된다. 내년 착공하는 '최고 100층 세계적인 비즈니스 중심지'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세부적인 개발 밑그림이 28일 공개됐다.
단군 이래 최대 개발 사업으로 불린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은 지난 2013년 최종 무산된 이후 10년 이상 방치됐다. 이번엔 토지주인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을 비롯해 서울시, 국토교통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같이 나섰다.
이날 이들 4개 기관은 이날 용산국제업무지구의 공간계획, 상징적인 공간 조성, 스마트 도시·에너지자립 도시 조성, 교통개선, 주택공급에 협력하기로 공동협약을 체결했다. 내년 말 도로와 공원 등 부지 조성에 들어가 2028년 건축물을 짓기 시작해, 이르면 2030년부터 기업과 주민 입주를 시작한다.
서울시는 49만5000㎡ 규모의 용산정비창 일대를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하고 개발계획을 고시했다. 올해 2월 개발계획안 발표 후 9개월 만에 주민공람, 영향평가 등의 행정절차를 완료한 것이다.
건축물 용도와 밀도 규제가 없는 화이트존인 '도시혁신구역'으로 지정해 창의적인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현재 용적률은 최대 1000%, 최고 100층 내외 국제업무지구로 계획됐지만, 향후 이곳이 도시혁신구역으로 지정될 경우 일부 획지에 용적률 최대 1700%를 적용해 고밀 복합개발을 유도하기로 했다.
글로벌 기업이 이곳에서 직접 개발사업에 참여하면 장기 토지 임대 혜택을 주거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심사할 때 담보보다는 사업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용산국제업무지구에서 노들섬까지 걸어갈 수 있는 보행교도 설치한다. 정치(대통령실)·경제(용산국제업무지구)·문화(용산공원) 기능도 연결한다. 용산국제업무지구∼용산공원을 잇는 보행 녹지 '용산게이트웨이' 사업 계획은 내년 10월까지 마련한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중심 8만㎡ 공중정원인 '그린스퀘어'에는 공연장, 전시관, 도서관을 연계한 복합 문화공간과 최대 1만석 규모의 야외 공연장이 들어선다. 아울러 용산국제업무지구가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 발돋움하는 데 필요한 제도를 개선하고 행정지원을 하기로 했다.
주변부 교통 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 3조578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광역교통개선 대책을 시행한다. 도로 기능을 강화하고 철도 중심 대중교통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도로 신설 및 확장, 교차로 개선, 한강 보행로 확충 등 17개 사업을 추진한다. 지하간선도로와 강변북로 연결도로를 신설하고 GTX-B 출입구와 환승 통로, 지행 보행로를 새로 만든다. 용산역과 공항철도도 잇는다. 기후환경 차원에서 제로 에너지 건축물을 조성하고 수소 연료전지를 설치한다. 이밖에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반의 자율주행 시스템과 첨단 물류시스템 도입을 추진한다.
또한 서울 중심부로 선호도도 높은 이 지역에 총 1만3000호의 주거시설을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에 6000호를, 용산 전자상가 등 반경 1㎞ 이내 재건축·재개발을 촉진하고 청년 안심주택을 지어 7000호를 공급한다. 외국인 학교, 외국인 특화 의료기관, 맞춤형 주거 공간 등 영어친화형 환경도 만든다.
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 홍보 브랜드로 '용산서울코어'를 선정했다. 서울의 중심을 넘어 아시아, 태평양의 중심이자 핵심으로 도약한다는 의미다. 용산국제업무지구인 옛 용산철도정비창 일대는 여의도공원의 2배, 서울광장의 40배에 이른다. 앞서 2010년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되며 개발이 예정됐지만 글로벌 금융위기와 용산 참사 등으로 좌초돼 지난 2013년 구역 지정이 해제됐다. 이번에 재추진하면서 사업비 규모도 51조원 수준으로 대폭 늘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협약식에서 "용산국제업무지구는 대한민국의 미래 국가 경쟁력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경제를 활성화하고 도시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두 가지 목표를 모두 실현할 것"이라며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서울 중심에 위치한 대규모 국가 소유 부지를 미래의 새로운 중심지로 개발하려는 국가 전략사업"이라며 "대한민국의 경제적 위상과 국민 자긍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이윤희기자 stels@dt.co.kr
10여년 만에 서울 중심부 용산국제업무지구(옛 용산철도정비창) 개발사업이 다시 추진된다. 내년 착공하는 '최고 100층 세계적인 비즈니스 중심지'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세부적인 개발 밑그림이 28일 공개됐다.
단군 이래 최대 개발 사업으로 불린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은 지난 2013년 최종 무산된 이후 10년 이상 방치됐다. 이번엔 토지주인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을 비롯해 서울시, 국토교통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같이 나섰다.
이날 이들 4개 기관은 이날 용산국제업무지구의 공간계획, 상징적인 공간 조성, 스마트 도시·에너지자립 도시 조성, 교통개선, 주택공급에 협력하기로 공동협약을 체결했다. 내년 말 도로와 공원 등 부지 조성에 들어가 2028년 건축물을 짓기 시작해, 이르면 2030년부터 기업과 주민 입주를 시작한다.
서울시는 49만5000㎡ 규모의 용산정비창 일대를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하고 개발계획을 고시했다. 올해 2월 개발계획안 발표 후 9개월 만에 주민공람, 영향평가 등의 행정절차를 완료한 것이다.
건축물 용도와 밀도 규제가 없는 화이트존인 '도시혁신구역'으로 지정해 창의적인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현재 용적률은 최대 1000%, 최고 100층 내외 국제업무지구로 계획됐지만, 향후 이곳이 도시혁신구역으로 지정될 경우 일부 획지에 용적률 최대 1700%를 적용해 고밀 복합개발을 유도하기로 했다.
글로벌 기업이 이곳에서 직접 개발사업에 참여하면 장기 토지 임대 혜택을 주거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심사할 때 담보보다는 사업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용산국제업무지구에서 노들섬까지 걸어갈 수 있는 보행교도 설치한다. 정치(대통령실)·경제(용산국제업무지구)·문화(용산공원) 기능도 연결한다. 용산국제업무지구∼용산공원을 잇는 보행 녹지 '용산게이트웨이' 사업 계획은 내년 10월까지 마련한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중심 8만㎡ 공중정원인 '그린스퀘어'에는 공연장, 전시관, 도서관을 연계한 복합 문화공간과 최대 1만석 규모의 야외 공연장이 들어선다. 아울러 용산국제업무지구가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 발돋움하는 데 필요한 제도를 개선하고 행정지원을 하기로 했다.
주변부 교통 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 3조578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광역교통개선 대책을 시행한다. 도로 기능을 강화하고 철도 중심 대중교통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도로 신설 및 확장, 교차로 개선, 한강 보행로 확충 등 17개 사업을 추진한다. 지하간선도로와 강변북로 연결도로를 신설하고 GTX-B 출입구와 환승 통로, 지행 보행로를 새로 만든다. 용산역과 공항철도도 잇는다. 기후환경 차원에서 제로 에너지 건축물을 조성하고 수소 연료전지를 설치한다. 이밖에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반의 자율주행 시스템과 첨단 물류시스템 도입을 추진한다.
또한 서울 중심부로 선호도도 높은 이 지역에 총 1만3000호의 주거시설을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에 6000호를, 용산 전자상가 등 반경 1㎞ 이내 재건축·재개발을 촉진하고 청년 안심주택을 지어 7000호를 공급한다. 외국인 학교, 외국인 특화 의료기관, 맞춤형 주거 공간 등 영어친화형 환경도 만든다.
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 홍보 브랜드로 '용산서울코어'를 선정했다. 서울의 중심을 넘어 아시아, 태평양의 중심이자 핵심으로 도약한다는 의미다. 용산국제업무지구인 옛 용산철도정비창 일대는 여의도공원의 2배, 서울광장의 40배에 이른다. 앞서 2010년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되며 개발이 예정됐지만 글로벌 금융위기와 용산 참사 등으로 좌초돼 지난 2013년 구역 지정이 해제됐다. 이번에 재추진하면서 사업비 규모도 51조원 수준으로 대폭 늘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협약식에서 "용산국제업무지구는 대한민국의 미래 국가 경쟁력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경제를 활성화하고 도시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두 가지 목표를 모두 실현할 것"이라며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서울 중심에 위치한 대규모 국가 소유 부지를 미래의 새로운 중심지로 개발하려는 국가 전략사업"이라며 "대한민국의 경제적 위상과 국민 자긍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이윤희기자 stel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