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동해 심해 가스전 회의 8광구·6-1북부 탐사계획 승인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을 위한 첫 탐사시추 위치로 8광구 및 6-1광구 북부 지역이 최종 확정됐다. 해당 광구는 석유·가스 매장량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돼 '대왕고래'로 이름이 붙여진 곳이다. 시추작업은 내달 중순부터 약 2개월간 이뤄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서 안덕근 장관 주재로 '제3차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전략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서는 지난 9월 열린 제2차 개발 전략회의 이후 투자유치, 조광제도 개편 등의 진행상황이 점검됐다. 석유공사가 제출한 '8광구 및 6-1광구북부 탐사시추계획'도 논의됐다.
국내 자원개발유관 6개 학회로 구성된 기술자문위원회는 지난 9월 석유공사의 잠정 1차공 시추위치안이 적정하다는 의견을 낸 바 있다. 석유공사는 11월 초 1차 시추위치를 포함한 상세 시추계획을 수립해 정부에 제출했다.
이후 13일 해저광물자원개발심의위원회도 시추위치안을 검토해 적정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시추위치안을 최종 검토하고 적정하다는 판단하에 승인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 정부가 석유공사 1차공 시추계획을 승인하게 되면, 올해 12월 중순 시추선이 부산항으로 입항한다. 기자재 선적, 보급 등 사전준비절차를 거쳐 시추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정부는 조광제도 개편 과련 △기업의 수익성을 감안한 조광료 부과 △고유가 시기 특별조광료 도입 △원상회복비용 적립제도 도입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해저광물자원개발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을 마련, 입법예고와 관계부처 협의를 완료한 상황으로 연내 개정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투자유치와 관련해 석유공사는 지난 7월부터 글로벌 메이저 기업과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설명회를 하는 한편 10월 S&P 글로벌을 자문사로 선정, 투자유치 전략을 수립 중이며 1차공 시추 이후 본격적으로 투자유치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안덕근 장관은 "1차공 탐사시추가 성공해 국민경제의 안정적 성장과 자원안보 확보에 크게 기여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성공과 실패에 연연하지 않고 1차공 시추를 통해 얻은 경험과 정보를 밑거름으로 후속탐사도 착실히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이민우기자 mw38@dt.co.kr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7일 '제3차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전략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