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당선인이 관세를 올리는 것은 이미 예고된 사인이지만 이렇게 관세 전쟁의 첫 포문이 열리자 '미국 우선주의'에 대한 우려가 다시 급부상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 무역과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국 경제 역시 직간접적 충격을 받을 것이다. 중국과 멕시코는 한국의 주요 무역 상대국이다. 이들 국가의 경제가 흔들리면 한국의 수출과 제조업은 위축될 수 밖에 없다. 자동차·전자 등 현지 진출 한국기업들은 향후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나아가 트럼프 당선인은 한국을 대상으로 무역 압박에 들어갈 공산이 크다. 이미 그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 불공정하다는 비판을 제기해 왔다. 역대 최대 수준의 대미 무역흑자를 문제 삼고,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증액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예상보다 관세 부과 계획을 일찍 내놓고 시행 날짜까지 못 박은 '속전속결'식 트럼프발(發) 관세 포격은 단순히 무역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글로벌 경제 질서의 급변을 예고하면서 각국의 경제 전략에 새로운 과제를 던지고 있다. 한국 정부의 신속하고 유연한 대응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고 있다. 즉흥적 접근이 아닌,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관망할 시간이 없다.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 상호 호혜적 '빅딜'을 선제적으로 미국 측에 제안하는 등 다각적이고 현실적인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다가오는 관세전쟁의 파고를 슬기롭게 넘어야 한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