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중국 추가관세에 10% 더…멕시코·캐나다에 25% 관세 마약·불법 이민 앞세웠지만…"자국 산업 보호, 경쟁력 확보 목적" 산업부, 22일 기아차·포스코 등 멕시코 진출기업과 대응안 논의 "멕시코에 이미 美기업 투자 많아…자국 기업 피해 고려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중국을 비롯해, 중국 업체 수출의 우회수출 경로로 알려진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 폭탄'을 예고했다. 마약, 불법 이민 문제 대응을 이유로 내세웠지만, 사실상 보호무역주의 '신호탄'을 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나는 (내년) 1월 20일 내 첫 행정명령 중 하나로 멕시코와 캐나다로부터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에 서명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른바 '좀비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 문제를 언급하면서 "수천 명의 사람들이 멕시코와 캐나다를 통해 쏟아져 들어오면서 범죄와 마약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유입되고 있다"며 "이 관세는 마약과 불법 외국인들의 미국 침략이 멈출 때까지 유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에 대해서도 "펜타닐을 비롯해 상당한 양의 마약이 미국으로 유입되는 것과 관련해 많은 대화를 나눴지만, 소용 없었다"며 "중국 정부 대표들은 내게 마약 밀매 적발 시 사형에 처할 것이라고 했지만,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으로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마약이 중단될 때까지 모든 제품에 대해 어떤 추가 관세에 더해 10%의 관세를 더 부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추가 관세에 의미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없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관세 폭탄 예고에 대해 이민자, 마약관리를 앞세워 자국 산업을 보호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선점하기 위한 조치로 분석했다.
홍기용 인천대 경영학부 교수는 "북미자유무역협정(USMCA)을 단 번에 바꾸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USMCA 개정 권한을 당사자가 가진 만큼, 한국 정부도 국내 기업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대응책을 마련해 두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정부는 지난 22일 기아차, HL만도, LG이노텍, LS이모빌리티, 현대모비스, 포스코 등 멕시코 진출기업과 '미국 신 행정부 통상정책 변화 대비 간담회'를 갖는 등 이미 대응에 나선 상태다.
산업부 관계자는 "멕시코에서 만든 자동차에 대해 100~200% 관세 부과 등 멕시코에 대한 관세 조치 얘기는 계속해서 나오던 얘기"라며 "지난주 간담회에서는 실제 미국에서 어떤 관세 정책이 나올지 알 수 없으니 시나리오별로 대응안을 꾸리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미국 기업들도 USMCA 때문에 멕시코 등에 투자를 굉장히 많이 하고 있다. 25% 관세 부과 시 미국 기업도 피해를 보는 상황"이라며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 기업 등과 재차 간담회를 갖는 등 소통하며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