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서울에서 열린 범야권 장외집회에서 경찰과의 충돌로 한창민 사회민주당 대표가 골절 부상을 입은 이후 처음 열리는 국회 본회의에서 이를 두고 책임 공방이 벌어졌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14일 본회의 개의 후 "지난 9일 한 집회 현장에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 경찰의 물리력 행사로 상처를 입는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했다"며 "국회를 대표하는 국회의장으로서 강한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이어 "국회의원 신분을 밝혔음에도 이 정도이면 다른 참가자들에게는 얼마나 더 큰 위협적인 상황으로 공권력이 행사된다는 것인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앞서 한 대표는 민주노총 등이 지난 9일 연 도심 집회에서 폭력 진압으로 골절상을 입었다며 경찰 관계자를 고소·고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우 의장은 "집회와 시위는 민주주의 과정이며, 촛불광장이 보여주었듯이 비폭력 시위 문화는 우리 민주주의의 자랑이기도 하다"며 "집회의 참가자들도 노력해야 하고 경찰도 과잉 대응을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다시는 이러한 과도한 대응이 재발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며 "국무총리께서는 국회가 정확한 진상과 경위를 보고받을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해 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우 의장이 이같은 발언을 하는 동안 여야는 각자 우 의장의 말에 큰 소리로 반박하거나 동조하는 등 공방을 이어갔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같은 우 의장의 발언에 즉각 입장문을 내고 "우 의장이 국회의장 본분을 망각하고 민주당 편에 서서 불법 폭력 시위를 두둔했다"며 "경찰의 정당한 공권력 행사를 비판한 데 대해 강력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추 원내대표는 "지난 주말 민주노총의 불법 폭력시위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경찰관 105명이 다쳤다"며 "타인에게 불편을 끼치고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위협하는 불법 폭력시위는 헌법상 집회의 자유로 보장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회의장이 불법 폭력시위에 대한 경찰의 정당한 대응을 비판하는 것은 정당한 공권력 행사를 위축시키고, 불법시위를 조장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민주당 출신 국회의장이 본회의장에서 민주당을 위한 정파적 발언을 했다"고 비판했다.전혜인기자 hye@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