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자유시보와 연합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의 중국 본토 담당 기구인 대륙위원회와 경제무역협상판공실은 유감과 엄정한 항의의 뜻을 강조하면서 "대만에 대한 경제적 압박과 정치적 조작을 즉각 중단하라"고 중국 측에 촉구했다.
대륙위원회는 "중국 측이 일련의 경제·무역 상황을 정치적 무기로 삼아 대만이 그들의 정치적 주장에 굴종하도록 협박하는 것"이라며 양안 (중국과 대만) 문제 해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경제무역협상판공실 역시 "중국 측이 세계무역기구(WTO) 절차에 따라 대만에 대한 무역 장벽 조사를 진행하지 않았다"며 "그 과정도 공평, 공정, 공개 투명의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어 "중국이 대만 측과의 관련 무역분쟁에 대해 일방적인 결론을 내렸다"고 덧붙였다.
이는 전날 중국 상무부 대변인이 "현재 관련 부서가 대만의 (중국에 대한) 무역장벽 조사 결과를 토대로 추가 조치를 연구하고 있다"고 밝힌 데 따른 반발이다. 이를 두고 대만언론은 지난 10일 양안이 서로 예속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재천명한 라이 총통의 건국기념일 연설에 대한 맞대응 차원으로 풀이했다.
중국과 대만은 지난 2010년 체결한 경제협력기본협정(ECFA)에 따라 2013년 1월부터 대만산 267개, 중국산 539개 품목을 '조기 자유화' 품목으로 지정해 무관세나 낮은 관세 혜택을 적용해왔다.
그러나 중국 당국은 대만 총통 선거를 한 달 앞둔 작년 12월 대만산 프로필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염화비닐 등 12개 품목에 대한 관세 감면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 조치는 올 1월부터 시행됐다.
여기에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6월 15일부터 윤활기유와 유동파라핀을 비롯해 각종 플라스틱·금속 제품, 리튬이온 배터리, 차량 부품, 골프 장비 등 대만산 제품 134종에 대한 관세 감면을 추가로 중단했다.
대만 중국시보는 ECFA의 공식 자료를 인용해 2022년과 2023년도 '조기수확' 품목을 통한 대중국 수출액이 각각 204억달러(약 27조5000억원)와 157억달러(약 21조2000억원)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대중국 수출액은 전년 대비 약 23% 감소한 것으로, ECFA 실시 이래 역대 최저 수출액과 최대 감소 폭이다. 박한나기자 park27@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