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균 K정책플랫폼 ESG 연구위원·서강대 경영대 교수
인류는 유례없는 규모와 속도로 발전 중에 있다. 동시에 기후 위기와 극단적인 자연재해, 자원 고갈과 식량 부족, 생물 다양성 파괴, 차별과 인권 침해 등으로 몸살을 겪고 있다. 기회와 위협이 병존하는 불안정한 생태계에서 우리 인류는 과연 지속 가능할까? 이 질문에 대해 우리 사회가 찾은 해답 중 하나가 ESG다. ESG는 이미 다 아는대로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말하며 기업경영의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 요소이다.

ESG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철학과 방법론은 무수하다. 대표적으로 정부나 국제적 규제를 통한 의무화의 방식으로 ESG를 실현하자는 철학과, 기업의 자율적 재량에 맡기자는 철학이 대립하고 있다. 또한 ESG는 단기적 트랜드에 그칠 것이라는 주장과, 명칭은 바뀔 수 있지만 중장기적 트랜드로 이어질 것이라는 주장도 대립 중이다.

한편 ESG는 자본시장이 주도하고 있기에 기업의 ESG 추진 동기를 자본주의적 계산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과, 이해관계자들의 중요성과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만큼 자본주의적 계산은 ESG의 다양한 동기 중 하나에 불과하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심지어 국가 간 헤게모니를 쟁취하려는 패권 전쟁의 소재로 보는 시각도 엄연히 존재한다.

ESG에 관한 다양한 의제 중에서 필자가 주목하는 의제는 ESG 시대에 '윤리경영의 역할'이다. ESG 시대를 맞이하면서 윤리경영을 ESG의 실천 아이템 중 하나로 그 역할 범위를 축소하는 경향이 있다. 또는 ESG는 사업과 연관성이 높은 행위들, 예컨대 투자나 자금조달 또는 판매·수출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행위들을 다루는 것인 반면, 윤리경영은 회사의 임직원들이라면 마땅히 지켜야 할 윤리적 규범 행위를 다루는 것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그러나 기업윤리를 전공한 필자의 눈에 윤리경영의 본질적인 역할은 ESG를 실천하는 방식을 올바른 방식으로 규율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ESG의 수많은 실천항목(action items)을 윤리적으로 올바르게 실천하도록 만드는 경영 행위가 바로 윤리경영의 본질이다.

이러한 관점이 왜 중요할까? 현행 ESG 경영 모델은 E·S·G의 3대 영역에 걸쳐 구체적인 실천항목들을 설정하고 그 이행도를 관리하는 모델이다. 지표의 예를 들면 온실가스 배출량, 재생에너지의 비중, 폐기물의 양, 신규 채용 일자리 수, 장애인 고용률, 산업재해율,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율과 여성 이사의 비율 등이다.

대부분 양적인 지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더 많은 지표를 더 높게 달성할수록 ESG 경영을 잘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600여개에 달하는 ESG 평가기관들도 이러한 양적 지표 관리 중심의 ESG 경영을 만드는데 일조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기업들은 단지 '숫자'를 맞추는데 열중하게 된다. 그 결과 각 항목의 실천 과정에서 윤리성, 진정성 이슈들이 발생하더라도 현행 ESG 모델에서는 잘 관리되지 못한다.

필자의 경험에 비추어 봐도 ESG 자문 시 '진정성' 논리가 '사업성' 논리를 좀처럼 이기지 못했다. 그러다 보니 ESG 활동의 이면에 은밀하게 작동하는 이해상충, 불공정 거래, 권한 남용, 권리 침해, 정보의 무단 활용 등 비윤리적 행위가 발생하기도 한다. 친환경으로 포장되어 있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은 '그린 워싱'이 그 대표적 예이다.

요약하자면, ESG 시대를 맞이하여 기업들은 대응 전략 수립과 이행에 고심하고 있는데, 윤리경영은 ESG 활동 중 하나의 구성 항목으로 좁게 이해해서는 안된다. 윤리경영은 ESG 활동이 얼마나 윤리적이고 진정성있게 이행되는지 그 '방식'을 관리하는 규범적 활동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윤리성, 진정성이 결여된 ESG 경영은 결국 이해관계자들에 의해 포착되며, 무서운 평판 비용이 청구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진정성이 결여된 ESG는 내부 직원의 블라인드 폭로, 시민단체의 고발, 미디어의 폭로 등으로 번져간다. 즉, 윤리경영은 ESG라는 함선이 제대로 된 속도와 방향으로 항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향타'라고 할 수 있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