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일 제76주년 국군의날을 맞아 국군 장병들의 헌신에 감사를 표하면서도 다른 메시지를 냈다. 국민의힘은 현 안보 상황에 대한 우려와 함께 군인사법·군인재해보상법 개정안 처리 등 군 장병 처우 개선을 강조한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채상병 특검법' 을 수용하라고 정부를 압박했다.
한지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국군 장병의 피와 땀으로 이룩한 자유대한민국을 국민과 함께 지켜내겠다"며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는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분들이 합당한 보상과 예우를 받고 자부심을 느끼실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순직 군인의 추서된 계급에 따라 유족들에게 유족연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군인사법·군인재해보상법 개정안이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더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외 안보 상황이 매우 엄중하지만 든든한 국군장병들이 우리나라를 지키고 있기에 대한민국의 평화는 결코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며 "국민의힘은 국군 장병들의 더 나은 복무 여건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반면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채상병 특검법 수용 의사를 밝히고 친일 매국 인사 임명을 사죄하는 일이 국군 통수권자인 윤석열 대통령이 국군의 날 해야 할 임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전역일이 지났음에도 가족 품으로 돌아가지 못한 해병대원의 희생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며 "진실규명을 겹겹이 가로막고 있는 세력에 대한 분명한 처벌만이 사고 재발을 막고 젊은 청년의 넋을 위로할 방법"이라고 말했다.
또 "우리 국군의 뿌리는 광복군의 역사에 있음을 분명히 한다"며 "윤석열 정부가 일본의 침략을 미화하는 가치관을 지닌 인사와 독립운동의 역사마저 부정하는 인사를 국가기관 곳곳에 임명하는 것은 우리 군의 뿌리를 송두리째 흔드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전혜인기자 hye@dt.co.kr
추경호(왼쪽)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건군 76주년 국군의날 기념식에 참석해 행사 시작 전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