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언어문화 개선을 위한 10대 실천과제’ 발표 아파트 명칭 우리말 공모전, 우리말 뉴스 방송, 우리말 정책명 인증
버거킹이 올해 한글주간을 맞아 한글이름 '신선한 빵의 왕'을 선보인다. 문체부 제공
'신선한 빵의 왕'
세계적 햄버거 가맹점(프랜차이즈)인 버거킹이 올해 578돌 한글날을 맞아 새로운 한글 이름과 한글 메뉴판을 선보인다.
영어로 된 아파트 명칭을 아름다운 우리말로 바꿀 공모전도 진행한다. 일상 속 언어문화를 개선할 수 있도록 우리말 뉴스와 기사도 적극 독려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립국어원과 함께 올해 한글주간(10월4~10일)'을 맞아 우리 일상 속 언어문화 개선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올해 '한글주간'의 주제인 '괜찮아?! 한글'에 맞춰 외국어·외래어 남용 경각심을 일깨우고 품격 있고 올바른 우리 말과 글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10대 실천과제를 정해 시행한다.
10대 실천과제는 △아름다운 우리말 일상 환경 구축 △언론·방송 보도 용어 개선 △온라인 국민 참여형 행사(캠페인) 추진 △청소년 국어능력 제고 △공공기관의 쉽고 바른 우리말 사용 등 5대 분야로 구성했다.
올해 9월 진행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 국민은 우리말 사용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이를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외국어·외래어 사용 비율은 81.0%에 달했고, 신조어·축약어 사용 비율도 절반에 가까운 45.3%였다. 외국어·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꿔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인식은 81.0%로 나타났고, 우리말 사용을 노력한다는 응답도 56.8%로 집계됐다.
문체부는 올해 한글주간을 맞아 '10대 실천과제'를 정해 외국어, 외래어, 신조어, 축약어 등이 범람하는 일상 환경과 언론·방송 등의 언어환경 속에서 품격 있고 올바른 우리 말과 글을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올바른 언어문화를 선도할 방침이다.
먼저 일상에서 넘쳐나는 외국어, 외래어 남용과 우리말의 소중함을 생각해볼 수 있는 과제를 진행한다. 외래어와 애칭으로 점점 길어지고 인식이 어려워지는 아파트 이름과 영어·일어·불어 등으로 표기되어 알아보기 힘든 음식점 메뉴판 등을 개선한다.
우리말 아파트 이름을 생각해 보는 '우리집 뭐라고 부를까' 공모전을 한글날인 10월 9일부터 11월 13일까지 연다. 우리말로 된 아파트 이름을 추천하거나, 새로운 우리말 아파트 이름을 제안하면 된다. 또 '버거킹'과 협업해 우리말 메뉴판 행사를 진행한다. 다음달 7일부터 9일까지 전국의 버거킹 매장 400여 곳에서 메뉴명들을 우리말로 바꾼 우리말 전자메뉴판을 사용할 예정이다.
방송사와 기자협회 등과 협업해 언론과 방송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공공성을 높이는 과제를 추진한다. 외국어·외래어 오남용을 개선하려면 대국민 영향이 큰 언론과 방송의 솔선수범이 필요하다는 국민 인식에 맞춰 보도 용어의 공공성을 높인다. 한국방송공사(KBS)는 한글날인 10월 9일 '뉴스9'에서 외국어 사용을 최소화하고, 우리말 사용 실태를 알리는 기획 기사를 보도한다. 쉬운 우리말을 살려 쓴 기자를 격려할 수 있도록 '우리말 기자상'을 후원한다. 다음달 9일까지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우리말을 사용하는 현직 기자들을 추천받고, 12월에 시상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우리가 일상에서 매일 사용하는 온라인에서 누구나 쉽게 우리말을 생각하고 참여할 수 있는 과제를 추진한다. 네이버, 네이버문화재단, 해피빈과 함께 우리말 사용 인식을 개선하고자 '숨은 우리말, 다듬은 우리말'을 소개하고, 국민이 '간직하고 싶은 우리말'을 제안하는 행사를 지난 27일부터 진행 중이다. 한글날을 기념하는 그림말(이모티콘)도 배포한다. 문체부는 '한글주간' 사전 홍보 행사로 지난달 30일까지 한글 이야기를 담은 그림말(이모티콘)을 공모하고 이달 초에 우수작을 선정했다. 다음달 4일부터 한글날 행사장을 찾은 방문객 5000명을 대상으로 카카오톡을 통해 우수 한글 그림말을 무료로 배포할 계획이다.
최근 문해력 부족 논란이 불거진 청소년들의 국어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청소년의 올바른 언어 습관과 언어문화 형성을 돕고자 지난 8월부터 12월까지 KBS 현직 아나운서들이 전국 100여 곳의 초등·중학교에서 바른 우리말 교육을 진행한다. 한글날을 기념해 다음달 12일 경기과천교육도서관에서는 '문학 더하기 문해력' 교실을 연다. 청소년들과 함께 문학작품을 선정하고, 읽기, 쓰기 활동을 통해 문해력을 향상한다.
국민의 생활과 직결되는 공공기관의 올바른 우리말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과제를 추진한다. 국민의 일상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공용어의 올바른 사용으로 공익적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한다. 다음달 4일부터 11월 22일까지 우리말을 잘 살려 쓴 정책명, 경관명 등을 추천하는 대국민 공모를 진행하고 우수작에는 한글학회의 '우리말 보람' 인증을 수여한다. 국민의 생명, 안전 등과 연관되는 공공용어 중 어려운 한자어나 외국어로 되어있는 용어를 제보받아 개선한다. 국립국어원 누리집에 '언어 개선 국민제보 게시판'을 신설했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다양한 분야의 많은 기관과 협력해 '언어문화 개선 10대 실천과제'를 추진하면서 우리 생활 속 많은 분야에서 쉽게 놓치고 있는 우리 말과 글의 바른 사용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다"며 "문체부는 앞으로도 국민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관된 언어문화를 개선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김미경기자 the13ook@dt.co.kr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30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정례 기자브리핑을 열고 '2024 한글주간(10.4~10)'을 맞아 우리 일상 속 언어문화를 개선 방안을 발표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문체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