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밸류업 지수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밸류업 프로그램'의 핵심 수단이다. 이날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이번 지수 발표를 계기로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주주간 정보 비대칭 문제가 해결돼 국내 증시가 재평가될 것으로 기대했다. 시장에선 기대감과 동시에 보완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밸류업 지수가 우리 증시에 큰 상승 동력이 될 수 있지만 세제 혜택 등 세부적인 지원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더해 우리나라의 후진적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개선이 없다면 한계를 보일 것이란 분석도 제기된다. 실제로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한국은 일본의 시장 개혁을 따라 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제목의 칼럼을 통해 한국의 재벌 중심 구조가 밸류업 성과를 저해하는 요인이라고 꼬집었다. 칼럼은 "한국의 재벌들은 일본과는 달리 상호출자 등 복잡한 기업 구조를 이용해 지배력을 유지해왔다"며 "재벌 가문의 이해관계는 소액주주들의 이해관계와 일치하지 않는 게 일반적"이라고 짚었다.
WSJ의 지적을 귀담아들을 필요가 있다. 상장사들이 지배주주만을 위한 의사결정을 해 국내외 투자자들이 크게 실망하는 경우가 계속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에 '밸류업 지수'가 도입되니 이를 계기로 기업지배구조 개선방안을 고민해 투자자 신뢰를 회복하고 자본시장 경쟁력을 강화해야할 것이다. 아무쪼록 '밸류업 지수'가 우리나라 기업지배구조 선진화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