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I데이 이노베이션 열려 대한항공·메가존 등 사례 소개 "데이터주권·저지연 등 기대감"
벤 카나바스 AWS APJ 기술디렉터가 24일 서울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AWS AI 데이' 행사에서 기조연설하고 있다. 팽동현 기자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완전관리형 생성형AI 서비스 '아마존 베드록'을 AWS 서울리전을 통해 쓸 수 있게 된다. AWS는 데이터 레지던시 등 컴플라이언스를 충족할 수 있게 해 생성형AI에 대한 기업고객의 저변을 넓혀나간다는 전략이다.
AWS코리아가 24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개최한 'AWS AI데이: 이노베이션' 컨퍼런스에서 벤 카나바스 AWS 아시아태평양·일본지역(APJ) 기술 디렉터는 "가장 쉽고 빠르게 생성형AI를 구축·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생성형AI 서비스를 곧 서울리전에도 론칭한다"며 "데이터 주권과 저지연 등에 대한 고객들의 기대에 부응할 것"이라 밝혔다.
이날 카나바스 디렉터는 "불연속적 변화 시기에 많은 고객이 집중할 곳을 질문하는데, 이런 시기엔 변하지 않는 게 무엇인지 집중해야 한다"며 '불변의 법칙'과 이를 뒷받침하는 AWS의 역량을 소개했다.
그가 제시한 법칙은 △AI를 위한 기반은 클라우드에 있음 △포괄적이고 효율적인 실험으로 시작 △미션에 맞게 모델을 어울리게 혼합해 적용 △데이터를 통해 일관성 및 제어 제공 △생성형AI로 혁신 가속화 등 다섯 가지다.
카나바스 디렉터는 "AWS는 인프라부터 서비스까지 풀스택에 걸쳐 가장 광범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생성형AI 관련 기능도 업계에서 가장 빠르게 추가해 나가고 있다"며 "하나의 AI모델이 모든 분야에 적합할 수는 없다. 이에 모델 또한 마찬가지로 가장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마존 베드록 스튜디오'를 통해 다양한 기반모델(FM)에 대한 선택권을 제공하며 적용사례를 늘린다는 구상이다. 모델과 서비스들에 대한 오케스트레이션을 통해 AI에이전트가 수행할 다단계 작업들의 최적화도 가능하다. '아마존 베드록 날리지베이스'는 다양한 데이터 커넥터를 통해 보다 수월한 검색증강생성(RAG)을 지원하며, '아마존 베드록 가드레일'로 유해 콘텐츠를 85%가량 감소시킬 수 있는 등 책임 있는 AI 구현을 돕는다.
카나바스 디렉터는 "기술을 위한 기술은 결과물을 도출하지 못하고 비즈니스 성공으로 이어지지도 않는다. 고객의 혁신 여정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며 "AWS야말로 각사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성형AI를 도입·활용하는 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우리는 생성형AI혁신센터와 AWS 파트너 네트워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고객의 혁신 여정을 함께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조연설에선 카나바스 디렉터 외에도 루크 앤더슨 AWS APJ 데이터·AI 디렉터를 비롯해 다양한 연사들이 연단에 올랐다. 오픈AI의 맞수이자 AWS와 긴밀한 관계인 앤스로픽의 프랜시스 파이 APJ 파트너십 총괄은 '클로드 3.5 소네트'를 비롯한 자사 AI모델들의 성능과 안전성을 소개했다.
최희정 대한항공 IT전략실 수석은 '아마존 커넥트' 기반으로 추진 중인 AI컨택센터(AICC)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했고, 공성배 메가존클라우드 AI·데이터분석센터장은 내달 출시 예정인 생성형AI 구축·운영 서비스 '젠AI360 v2'를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