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버119'에는 과기정통부·검찰·경찰 등 정부부처, 부산·대전·광주·대구광역시 등 지자체, 한국전력공사·한국수력원자력·한국인터넷진흥원 등 공공기관까지 46개 기관이 참여한다. 이들은 지난 2일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 판교캠퍼스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국정원장 명의 '사이버119' 위촉장을 받고 수도권·충청권·영남권·호남권·제주권 등 5개 권역에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지난해 11월 행정전산망 장애 등 전자정부 서비스 마비 사태 발생 시 '국가사이버위기관리단' 소속 '신속지원팀'이 현장에 출동해 원인 규명과 서비스 복구·안정화를 지원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대규모 사이버장애나 해킹사고를 안보 관점에서 접근, 골든타임 내 출동·위기대응이 가능한 광역단위 신속대응체계 구축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이에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 내 전문가 130여명이 참여하는 합동대응 협의체를 발족했다는 게 국정원의 설명이다.

신용석 국가안보실 사이버안보비서관은 이날 축사를 통해 "기존 지역별 사이버보안협의회가 '사이버 119'라는 전국 단위 협의체로 발돋움한 만큼 향후 사이버 위기대응 활동이 한층 업그레이드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오준 국정원 3차장은 "협의체를 중심으로 광역 신속대응 체제를 구축해 사이버 특급 소방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팽동현기자 dhp@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