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통화정책 기조 전환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그 시기와 폭에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고 1일 밝혔다.
이날 한국은행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관련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했다.
FOMC는 지난달 30∼31일(현지 시간) 열린 회의에서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5.25∼5.50%로 동결했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9월 정책금리(기준금리) 인하 논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에 유 부총재는 "국내외 금융 여건 변화에도 수도권 중심의 주택가격 상승, 가계부채 증가세,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등 금융 안정 리스크(위험)가 상존하는 만큼 이에 대해 계속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최근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되고, 미국 대선 관련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어 주요 가격 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유의해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할 것을 강조했다.주형연기자 jhy@dt.co.kr
[연합뉴스]
이날 한국은행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관련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했다.
FOMC는 지난달 30∼31일(현지 시간) 열린 회의에서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5.25∼5.50%로 동결했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9월 정책금리(기준금리) 인하 논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에 유 부총재는 "국내외 금융 여건 변화에도 수도권 중심의 주택가격 상승, 가계부채 증가세,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등 금융 안정 리스크(위험)가 상존하는 만큼 이에 대해 계속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최근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되고, 미국 대선 관련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어 주요 가격 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유의해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할 것을 강조했다.주형연기자 jhy@dt.co.kr
![[연합뉴스]](https://wimg.dt.co.kr/news/legacy/contents/images/202408/2024080102109963033002[1].jpg)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