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1일 "소모적인 쟁점 법안보다 국회 연금특위가 더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이날 본인의 페이스북에서 "이재명 민주당의 입법 폭주가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며 "오늘 본 회의에는 이진숙 방통위원장에 대한 탄핵소추안, 13조 현금살포법, 불법파업 조장법을 올릴 예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본회의에서 5박6일간의 필리버스터와 야당의 표결로 통과된 '방송4법'을 언급해 "결국 대통령 거부권, 국회 재표결, 폐기로 이어지게 될 것"이라며 "모든 국회의원들의 귀중한 시간과 노력이, 민생에는 하나도 도움이 되지 못하고 허공으로 사라져버리고 아무 것도 남지 않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안 의원은 "지금 이렇게 소모전을 벌일 여유가 없다"며 "민생법안은 손도 대지 못하면서 결국 폐기될 법안을 두고 또다시 국회의원 전원의 2박3일을 허비하자고 하니 국민을 뵐 면목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쟁점 법안은 미루고, 우선 의료대란 등 시급한 민생 현안 해결과 연금 개혁부터 빨리 착수해야 한다"며 "여야 공히 22대 국회가 시작되면 신속히 연금 개혁부터 처리하겠다 약속했지만, 국회 차원의 연금특위조차 구성하지 못했다. 이재명 민주당이 정부안부터 제시하라며 협의체 구성에 응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이 전 대표도 '(연금개혁을) 지금 하지 않으면 기회가 없다'고 했고, 민주당도 국회 차원의 상설특위 구성을 미룰 이유가 없다"며 "우리가 이렇게 허송세월하는 동안 미래세대가 갚을 빚은 매일 856억원씩 늘어간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안 의원은 우원식 국회의장을 향해 "쟁점 법안에 대한 직권 상정은 미루고, 연금 특위부터 구성하도록 나서 주길 바란다. 그것이 진정 국회의장이 해야 할 일 아니겠냐"며 "연금특위 구성은 파행을 거듭하는 국회가 제자리를 찾는 방안인 동시에, 국민과 나라에 대한 국회의 최소한의 의무"라고 호소했다.
전혜인기자 hye@dt.co.kr
25일 국회 본회의에서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 재의의 건' 투표를 마친 뒤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