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런 상황에서 청년 고용 질은 계속 나빠지고 있다. 지난달 청년층 임금근로자 가운데 상용근로자는 모두 235만3000명에 달했다. 지난해보다 20만명 가까이 줄어든 수치다. 최근 10년 사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상용직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청년 고용 역시 양적으로도 계속 줄어드는 추세다. 1년 7개월 연속 내리막길이다. 정부가 지난해 11월 청년 인턴 확충,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지원 등을 담은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 방안'을 내놨지만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을 보여준다. 양질의 일자리가 충분히 늘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이렇게 취업 지원에 초점을 맞춘 정책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반면 중소기업에는 일할 사람이 없어 아우성이다. 일할 사람을 찾는 중소기업들은 널려 있는데 정작 거기서 일할 사람이 없는 '일자리 미스매치'가 심각한 것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과도한 임금 및 근무여건 격차 탓이 크기 때문이다. 이런 양극화를 그대로 둔다면 청년 실업이란 한국의 고질병은 고칠 수 없다. 결국 문제점들을 개선해 중소기업을 청년 눈높이에 맞는 매력적인 직장으로 만드는 것이 해법일 수 밖에 없다. 과감한 중소기업 정책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중소기업을 살려야 한다. 그래야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청년 일자리 문제가 해소된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