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특정 다수와 접촉면을 넓혀야 하는 정치인들은 숙명적으로 위해의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개인들은 정치적 지향에 따라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정치인이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그 정도가 과하고 정상적 사고를 못할 경우 이번처럼 테러로까지 감행된다. 근년에 정치인과 공인에 대한 테러가 여럿 있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대표 시절 유세 중 커터칼로 목 부위를 베어 중상을 입은 사건은 지금도 국민들의 뇌리에 선명하다. 불과 2년 전 당시 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유세 중 한 남성으로부터 둔기로 가격당한 사건도 있었다. 정치인은 아니지만 2015년에는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가 서울 세종문화회관 조찬행사에 참석 중 과도로 피습당해 부상을 입기도 했다. 이 사건은 세계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치안이 좋은 국가로 인정받는 한국에서 공인의 테러가 잇따라 발생하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큰 해악이다.
이 대표를 공격한 남성의 범의가 무엇인지, 그가 혹여 숨기고 있는 배후는 없는지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 사건이 터진 후 민주당은 이 대표를 전담하는 경호인력을 보강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찰도 정치인들에 대한 방호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이제 곧 총선 정국으로 돌입한다. 정치인들의 대외활동이 대폭 늘어난다. 테러용의자가 지지자를 가장하고 접근해 갑자기 공격하는 행태를 근본적으로 막을 묘책은 사실상 없다. 그렇더라도 각 당과 정치인들은 우선 자구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경찰도 외곽 방호활동을 더 꼼꼼히 챙겨야 한다. 지금과 같은 극단적 정치 분열 상황에서 모방 정치테러는 또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이 백주에 제1야당 대표가 피습당하는 나라로 남아서야 되겠는가. 한 점 의혹 없이 이번 테러의 진상을 철저히 밝혀야 한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