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요금 억눌러 비용압력 커
"물가오름세 긴장 늦추긴 일러"

2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이창용 총재가 발언하고 있다. 한은 제공.
2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이창용 총재가 발언하고 있다. 한은 제공.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공공요금 등 누적된 비용인상 압력에 따른 물가 불안 가능성에 우려를 나타냈다.

이 총재는 20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정검 설명회'에서 "정부가 물가 관리를 했기 때문에 물가가 많이 안 올랐다"며 "세상에 공짜는 없다. 이를 되돌리는 과정에서 물가가 떨어지는 속도가 더 늦춰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올들어 물가 관리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전기·가스요금 등 정부가 직접 조정할 수 있는 공공요금 인상을 사실상 통제해왔다. 빵과 우유 등 가공식품 물가를 전담하는 공무원을 지정하는 등 우회 압박을 통해 물가 인상 속도를 조절해 왔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한은은 설명회 전 배포한 자료를 통해 물가상승률이 내년 연말로 갈수록 2%에 근접해 나갈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실제 지난 7월 6.3%까지 높아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 유가와 농산물 가격이 하락하면서 3.3%로 크게 둔화했다. 근원인플레이션도 지난해 11월 4.2%에서 지난달 2.9%로 낮아졌다.

다만 한은은 향후 전망경로 상에는 국제유가 추이, 국내외 경기 흐름, 비용압력 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특히 누적된 비용 압력 탓에 주류, 대중교통요금, 여행·숙박을 비롯한 개인서비스 등 근원상품 가격(에너지·식료품 제외) 둔화세가 주요국 대비 뚜렷하지 않단 점이 물가 상방 요인으로 지목됐다.

이 총재는 "앞으로도 금리 인상의 영향이 지속되면서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목표 수준(2%)을 크게 웃도는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대한 긴장을 늦추기엔 아직 이른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의 향후 추이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가운데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의 영향이 지속되고 있고, 노동비용도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인플레이션을 목표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한 '라스트 마일(최종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의 마지막 구간)'은 지금까지보다 쉽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조기 금리인하에 대한 시장 기대에 대해서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지난 2022년 3월부터 고강도 긴축을 이어온 파월 연준 의장은 12월 FOMC에서 '비둘기파적'(통화완화 선호) 발언을 통해 '피벗'(통화정책 전환)을 시사한 바 있다.

이 총재는 "금리 인하를 논의한 사실이 있다는 파월 연준 의장의 말이 예상을 크게 벗어나 입장이 크게 변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시장이 과잉 반응하는 지 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이미선기자 already@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이미선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