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대 실손보험 가입자의 내년 보험료가 평균 18% 오른다. 대신 1세대 가입자의 보험료는 4% 내린다. 이에 따라 내년 실손보험료는 올해보다 평균 1.5% 인상될 전망이다. 실손보험은 3세대를 중심으로 손해율이 급증하고 있으나 보험사들은 '상생보험' 차원에서 인상률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손해보험협회와 생명보험협회는 18일 설명자료를 내고 내년도 실손의료보험의 전체 인상률 평균(보험료 기준 가중평균)이 약 1.5% 수준으로 산출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22년 약 14.2%, 올해 약 8.9% 인상된 것보다 크게 낮아진 수치다.

세대별로 보면 1세대(2009년 10월 이전 가입자)는 평균 4%대 인하율이 산출됐다. 2세대(2009년 10월~2017년 3월 가입자)는 평균 1%대, 3세대(2017년 4월~2021년 6월 가입자)는 평균 18%대 올리기로 했다. 지난 2021년 7월 이후 출시된 4세대는 동결될 예정이다.

실손보험 손해율은 일부 비급여 항목의 과잉 진료 문제로 지속해서 상승하는 추세다. 업계에 따르면 대형 손해보험사들의 올해 상반기 실손보험 손해율은 121.2%로 작년(118.9%)보다 증가했다. 이 중 3세대 손해율은 작년 131.4%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상반기 156.6%로 크게 뛰었다. 손해율이 100%보다 높다는 것은 보험사들이 실손보험에서 적자를 내고 있다는 의미다.

보험업계는 실손보험 손해율 상승이 지속되는 만큼 도수치료·영양제 주사 등 일부 문제 비급여 항목에 대해 실행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해 관계 당국에 건의할 계획이다.

협회 관계자는 "내년도 보험료 인상률은 보험사들의 평균 수준으로, 모든 가입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인상률이 아니다"라며 "가입상품의 갱신주기·종류·연령·성별 및 보험회사별 손해율 상황 등에 따라 개별 가입자에게 적용되는 인상률은 차이가 날 수 있다"고 말했다

손보업계는 내년 자동차 보험료도 내리기로 했다. 보험료 인하 연부와 인하 폭, 인하 시기 등 세부 사항은 개별 보험사가 결정한다. 업계에서는 평균 인하율은 2.5% 수준에 달하고, 최대 3%를 내리는 곳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자동차 보험료는 이르면 이번 주부터 인하 폭이 발표될 것으로 전망된다.

임성원기자 sone@dt.co.kr

실손보험 [연합뉴스]
실손보험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임성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