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세트 사업을 담당하는 DX(디바이스경험)부문에 이어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에 이르기까지 업무 보조용 자체 생성형 인공지능(AI)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DS부문은 이날부터 사업부별로 순차적으로 생성형 AI를 도입한다고 공지했다.

앞서 삼성전자 DX부문도 자체 개발한 '가우스 포털'을 지난주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DS부문의 생성형 AI 명칭은 'DS 어시스턴트'로, 가우스 포털과는 별도로 DS부문의 반도체 사업 특성 등을 고려해 구축한 시스템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솔루션은 구매·경비 등 업무 프로세스 자동 응답, 공정·설계·제조 등 전문 지식 검색, 제조·공정 데이터 요약, 번역, 문서 작성, 회의록 녹취·요약, 시장·업체 분석, 코드 생성·리뷰, 고객 소리(VOC) 대응과 같은 임직원의 업무를 지원하게 된다.

삼성전자는 앞서 '챗GPT'등 기존 생성형 AI 사용으로 인해 기밀 유출에 따른 보안 우려가 커지면서 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대신 업무 효율화를 위한 임직원 요구를 고려해 자체 생성형 AI 도입을 추진해 왔다.

지난달 삼성리서치가 개발한 자체 생성형 AI 모델 '삼성 가우스'를 공개하면서 이를 사내 업무에 먼저 접목하고, 이후계적으로 스마트폰, 노트북, VR 등에 적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전혜인기자 hye@dt.co.kr

삼성전자가 선보인 자체 생성형 AI '삼성 가우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선보인 자체 생성형 AI '삼성 가우스'. 삼성전자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