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디지털 시민 프로젝트'의 1년 성과와 추진 방향을 논의하는 성과공유회를 18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에서 개최했다.

디지털 시민 프로젝트는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디지털 세상을 만들기 위해 지난해 12월 22개 기업과 전문기관이 뜻을 모아 출범한 협력 체계다.

참여 기관들은 교육, 기술·연구, 피해지원 3개 분과로 구분해 디지털 환경의 부작용을 예방하고 해결하는데 힘을 모은다.

이 자리에서 교육 분과는 건강한 디지털 시민 양성을 위한 윤리교육과 올바른 디지털 활용법 확산 등을 위해 이화여대, 서울시 및 경기도 교육청, 한국언론진흥재단, 세브란스병원의 협력 활동을 공유했다. 교육분과장인 정제영 이화여대 미래교육연구소장은 초등학교 저·고학년 맞춤으로 제작된 디지털 시민 교육과정을 서울시와 경기도 교육청 소속 40개 학교 약 40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이화여대 미래교육연구소에서 개발한 '디지털 시민 역량 진단 툴(DCAT)'을 활용해 개인별 교육결과 진단, 피드백, 보완 교육 등의 교육 체계를 고도화하는 과정도 병행했다. 이 교육은 KT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공동으로 선발하고 육성한 90명의 '디지털 시민 서포터즈'가 지원했다.



피해지원 분과는 디지털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김앤장, 세종, 태평양 등 3대 법무법인과 워킹그룹을 구성해 △디지털 시민 교육 법제화 △디지털 스토킹 피해자 보호 강화 △디지털 성범죄 청소년 보호강화와 관련된 3개 법률의 개정안을 수립했다.

세브란스병원과 KT가 공동으로 개소한 '마음키움' 교실은 디지털 중독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 대상 집단 심리치료를 진행했다. 메타버스 심리상담 플랫폼을 활용해 디지털 학교폭력 피해자의 상담을 진행하는 등 피해자들이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게 지원했다.

오태성 KT ESG경영추진단 상무는 "앞으로도 건강한 디지털 사회 조성을 위해 주요 과제가 잘 실행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나인기자 silkni@dt.co.kr



KT 디지털 시민 프로젝트 참여 기관들이 18일 서울 이화여대에서 성과 공유회를 갖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KT 제공
KT 디지털 시민 프로젝트 참여 기관들이 18일 서울 이화여대에서 성과 공유회를 갖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KT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나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