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대통령실 개편도 단행됐다. 비서실장과 같은 급의 정책실장직을 부활시켰고, 수석비서관 전원과 국정상황실장 등을 새로 임명했다. 곧 국가정보원장, 방송통신위원장 후임 인선도 가닥이 잡힐 것으로 알려졌다. 인사의 폭이 커서 현 정부 출범 1년 6개월여만에 '2기 내각'이 출범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비록 총선에 출마하는 참모진이나 장관들 공백이 이번 조직 개편의 계기가 됐지만 조직쇄신을 통해 정책역량을 최고조로 끌어올리려는 구상이라 기대감이 높다. 하지만 대내외 상황이 녹록지 않다. 국정 현안이 한둘이 아니다. 경기침체에다 고금리·고물가까지 겹쳐 민생은 너무 어렵고, 개혁은 더디게 진행중이다. 연금·교육·노동 등 3대 개혁과제만 해도 별다른 진척이 없다. 인구감소·고령화도 심각하다. 미 뉴욕타임즈(NYT)가 한국의 인구 소멸이 흑사병 수준이라고 진단할 정도다.
따라서 새 내각의 어깨는 실로 무거울 것이다. 내년 4월 총선 전까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성과를 내야한다는 지상과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이날 최상목 경제부총리 후보는 "임중도원(任重道遠)의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고, 다른 장관 후보들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런 책임감과 다짐 속에서 2기 내각은 비상한 각오로 국민을 위해 일해야할 것이다. 국민들은 대통령실과 내각의 새로운 체제가 국정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기를 원한다. 부디 국정 쇄신의 동력을 높여 민생 안정과 개혁과제 추진에 큰 성과를 거두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