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윤 대통령도 지난달 29일 1주기 추도 예배 참석 추미애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정치적으로 이용한다는 구실로 추모의 기억과 과정도 생략해 버렸다"면서 "우리는 함께 해야한다. 그래야만 민주 시민의 자격이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추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눈 앞에 아른거리는 스무살 갓 넘긴 해맑은 얼굴을 더 이상 만져 볼 수도 없고, 눈부시게 밝고 창창했던 딸의 꿈을 함께 꾸어 볼 수도 없이 고통의 나날을 견디어 내고 있는 한 아버지가 얼마 전 서울 시청앞 미사 중 신부님의 입에서 딸의 이름이 처음으로 호명되는 순간 비로소 하나의 인간으로 실재한 것 같아 위로를 받았다고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추 전 의원은 "천주교 수원 교구 시국미사에서 고(故) 최유진 양 아버지의 통한의 연대사를 들으며 미안했다"면서 "국민이 주인인 나라에서 누가 왜 얼마나 죽었는지 누가 그 죽음을 방치했는지, 국민의 이름과 국민의 죽음의 이유를 권력의 횡포로 기억에서 지운다면 나라가 생지옥이고 불의 그 자체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족이라는 이유만으로 정치적 박해를 당하고 있는 것"이라며 "정치적으로 편을 갈라 그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권력의 횡포를 묵인하고 방조한다면, 길거리의 불의를 지적하고 응징했던 예수님의 가르침에도 어긋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같은 추 전 의원의 주장은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정부·여당의 대응을 비판한 것이다. 민주당은 최근 정부여당에 노란봉투법과 함께 이태원특별법의 처리를 거듭 촉구하는 상황이다.
다만 윤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 추도 예배에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저와 같은 마음일 것"이라며 "유가족에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임재섭기자 yjs@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