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방역 3배 이상 늘리고 직물의자 고온살균
9호선과 우이신설선, 신림선은 특별방역 시행
직물 의자는 단계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교체키로
버스·택시도 정기적으로 내부 관리 및 맞춤점검

최근 전국 숙박시설과 목욕장 등에서 빈대 출현에 따른 피해 신고 사례가 늘고 있다. 이에 서울시도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시설에 대한 방역을 강화키로 했다.

7일 정부 합동대책본부에 따르면 전날인 6일까지 전국 17개 시·도에 모두 30여건의 빈대 의심신고가 접수됐다. 기존 신고에다 신규 신고를 누적한 수치다.

지난 2014년부터 약 10년간 질병관리청에 접수된 빈대 관련 신고는 9건에 그쳤다.그러던 게 최근 들어 신고가 부쩍 늘어난 것이다.

5일 기준 서울시 각 지자체와지자체 보건소에 들어온 빈대 발견·의심 신고 건수는 17건이었다. 정부 민원안내 전화 '국민콜 110'에 들어온 서울지역 빈대 관련 신고는 5건이었다.

이에 서울시는 버스·지하철·택시 등 대중교통 시설에 대한 방역을 서두르고 있다.

지하철은 프랑스 파리 등 해외에서 빈대 확산 소식이 알려졌을 때부터 발빠른 대응에 나섰다. 직물 소재 좌석의 경우 빈대 발생 우려가 있어 시와 철도운영기관이 열차·역사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

시는 지난달 각 도시철도 운영기관에 전문 방역업체 검역 의뢰와 방역체계 정비,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 제품 사용 등을 당부했다.

서울 지하철 전 노선에 대해 열차의 기지 입출고 시 의자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도록 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는 연 9회이던 방역 횟수를 연 30회로 3배 이상 늘려 열차를 관리하고 있다. 직물 의자에 대해선 고온 스팀 청소기로 살균·살충 작업을 시행 중이다. 특히, 직물 의자는 단계적으로 빈대가 서식할 수 없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교체할 예정이다.

지하철 9호선과 경전철인 우이신설선, 신림선도 정기방역 이외에 특별방역을 시행하는 한편 방역 주기를 단축했다. 이들 노선에서 빈대가 발생한 경우 해당 차량을 집중적으로 방역한다.

버스는 차량 내 직물 소재 의자가 거의 없지만 공항버스 등이 운영되는 만큼 맞춤형 방역을 시행한다. 시내·마을버스도 빈대 출현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방역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택시의 경우 직물 소재가 거의 없으나 모든 택시(장애인콜택시, 외국인관광택시 등 포함)를 대상으로 하루 2회 이상 소독제, 물티슈, 청소기 등으로 차 내부를 관리한다.

행정안전부는 전국 단위의 빈대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 3일 정부 합동대책본부를 꾸렸다. 합동대책본부는 총리실에서 총괄한다.

대책본부는 17개 광역 지자체를 통해 접수된 전국 기초 지자체의 빈대 의심 및 발생 건수 등을 취합해 주 단위로 발생 추이를 밝힐 계획이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대중교통 코로나 비상…버스·지하철 방역 강화 [연합뉴스]
대중교통 코로나 비상…버스·지하철 방역 강화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양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