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내려다본 아파트 일대[연합뉴스 자료사진]](https://wimg.dt.co.kr/news/legacy/contents/images/202309/2023093002109958038001[1].jpg)
격차가 이렇게 벌어진 데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지난 수년 간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오른 영향이 컸다. 2018년에는 수도권 가구 평균 자산(5억465만원)이 비수도권(3억4220만원)보다 47.5% 많았는데, 이후 2019년 53.6%, 2020년 59.6%, 2021년 65.6%, 지난해 69.2%로 점차 격차가 벌어졌다. 수도권은 더 부유해지고 지방(시골)은 더 가난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전국 가구 총자산 중 수도권 가구 총자산의 비율인 수도권 집중도는 2018년 57.8%에서 2019년 58.7%, 2020년 60.2%, 2021년 61.2%, 지난해 61.8% 등으로 높아졌다.
다만 자산에는 부채가 포함돼 있고, 가계금융복지조사는 가계의 경제적 삶의 수준을 미시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전국 2만여 가구를 표본 조사한 것이라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수도권 가구의 평균 경상소득(근로소득 등 비교적 정기적이고 예측이 가능한 소득·2021년 연간)은 7022만원으로 비수도권(5832만원)보다 20.4% 많았다.
김회재 의원은 "기업, 인프라, 구직자, 인구 모두 수도권으로 쏠리면서 자산·소득 격차가 확대되고 지역은 소멸 위기에 처하고 있다"며 그 대책으로 기업 본사를 지방에 이전하는 '지역 본사제' 추진과 지역 인프라 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김세희기자 saehee0127@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