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호선 시청역에서 시민들이 하차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1호선 시청역에서 시민들이 하차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의 은퇴한 노인들이 지하철 무료 승차 혜택을 이용한 열차 여행을 낙으로 삼고 있다고 소개한 기사가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NYT)에 실려 눈길을 끌고 있다.

NYT는 지난 23일(현지시간) 'For South Korea's Senior Subway Riders, the Joy Is in the Journey(한국의 나이든 지하철 탑승자들이 여행에서 기쁨을 찾는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지하철 나들이를 즐기는 한국 노인들의 목소리를 담았다.

서울메트로 등 서울 지하철 운영사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하철 무료 승차 혜택을 받는 노년층은 서울 지하철 연간 이용객의 약 15%를 차지한다. '공짜 지하철'이란 말에서 유래한 '지공거사'라는 별칭이 있을 정도로 서울 지하철의 한 축으로 자리잡았다.

NYT에는 올 여름 지하철에서 서울 곳곳을 여행하는 사연들이 소개됐다. 인테리어 디자이너로 일하다 은퇴한 이진호(85)씨는 단정한 한복을 차려입고 무더운 8월 집에서 종점인 소요산역까지 지하철에 탔다. 그는 "집에 있으면 심심해서 그냥 누워만 있을 것 같다"며 "한 바퀴를 돌면 정확히 4시간이 걸린다"고 지하철을 여행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은퇴한 수학과 교수인 전종덕(85)씨는 "책을 읽다가 졸기도 한다"며 "서울 구석구석 지하철이 닿는 곳이라면 안 가본 곳이 없다"고 말했다.

NYT는 지하철이 수년간 적자에 시달리자 무임승차 제도를 폐지하거나 연령을 상향 조정하는 방안이 거론된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노인 빈곤율이 일본이나 미국의 두배에 달하는 한국에서 1회 탑승 요금 1500원을 아낄 수 있다는 것은 어르신들에게 큰 의미가 있다고 짚었다.

이들은 민폐를 끼치지 않기 위한 일종의 규칙도 있다고 언급했다. 사람들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대는 피하기, 자리를 양보해야 한다는 부담을 주지 않도록 앉아있는 젊은이들 앞에 서 있지 않기 등이다.김나인기자 silkni@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나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