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관광 활성화를 위해 대학교 기숙사를 활용해 '캠퍼스스테이(가칭)'을 시범 운영한다. 폐교는 청소년 수련시설인 유스호스텔로 전환한다. 노후 상가도 숙박시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용도 변경 절차를 간소화한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담은 숙박시설 3대 확충방안을 24일 발표했다.

'캠퍼스스테이'는 도심과 가까운 대학 기숙사를 해당 대학 프로그램과 연계해 외국 학생이 숙박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시는 연내 추진안을 마련하고 1~2개교를 선정, 내년 방학 기간부터 시범운영에 나설 계획이다.

캠퍼스스테이'는 대학가 상권을 활성화하고, 국제적으로 대학을 홍보하는 동시에 최근 학생 수 감소 등 문제에 직면한 대학들의 새로운 활용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서울에서는 오세훈 시장의 부인인 송현옥 교수가 재직 중인 세종대가 대학 일부 공간을 활용해 '세종스테이'라는 숙박시설을 운영 중이다.

폐교를 리모델링해 서울을 찾는 국내외 청소년에게 유스호스텔로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학교는 문을 닫더라도 해당 토지는 교육용 시설 외 상업·주거 등 시설물을 건립할 수 없지만 학생 수련은 교육 차원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유스호스텔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시는 판단했다. 시는 폐교 확보를 위해 서울시 교육청과 협의 중이며 강서구 방화동 구(舊) 공항고 부지를 우선 검토한다.

상가 등 노후 건축물은 숙박시설로 전환할 수 있게 용도 변경 활성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용도변경 절차를 간소화하고 자치구 건축사 상담창구를 운영한다. 현재 시는 동대문, 신촌, 구의역 일대 상가의 용도변경을 검토 중이다.

장기적으로 숙박시설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도시계획을 지원한다. 둘 이상의 용도지역이 중첩된 노선형 상업지역 일대의 용도지역을 상향해 관광숙박시설 조성을 유도한다. 노선형 상업지역은 3도심(서울 도심, 영등포·여의도, 강남 도심)에 주로 있어 숙박시설이 확충되면 관광객 편의와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노후 모텔촌은 양질의 숙박시설로 개선하고자 관광숙박 특화 지구단위계획 기준을 마련하고 용적률 인센티브도 30%(일반상업지역은 240%)까지 완화할 수 있게 도시계획조례를 개정한다. 우선 검토 지역은 신촌역 주변, 종로3가, 화양동, 서울대입구역 등이다.

관광숙박시설 공급과 운영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한강·한옥 등 관광자원을 활용해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는 숙박시설을 마련한다.

특별한 숙박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한강, 서울 둘레길 등 시내 명소에 팝업호텔 등 인근 관광자원과 연계한 이벤트 객실을 운영한다. 김남석기자 kns@dt.co.kr

숙박시설 집중공급 검토 대상지.  [서울시 제공]
숙박시설 집중공급 검토 대상지. [서울시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남석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