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 예대금리차가 5개월 만에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공시된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신규 취급액 기준 7월 평균 가계 예대금리차(정책서민금융 제외)는 0.934%포인트(p)로 집계됐다. 전월 평균(0.928%p) 대비 0.006%p 확대됐다.
예대금리차는 저축성 수신금리에서 대출금리를 뺀 값이다. 은행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쓰인다. 예대금리차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은 산술적으로 대출·예금 금리 격차에 따른 마진(이익)이 많다는 뜻이다.
은행별로보면 농협은행이 1.11%p로 가장 높았다. 다만 전월 대비 0.08%p 낮아졌다. 농협은행 다음으로 KB국민은행(0.92%p), 신한은행(0.91%p), 우리은행(0.90%p), 하나은행(0.83%p) 순이었다. 5대 은행, 인터넷은행, 지방은행, 외국계 은행을 포함해 이날 공시에 참여한 19개 은행 중 가계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곳은 전북은행(5.76%p)이었다. 토스뱅크(3.39%) 인터넷은행, 지방은행, 외국계 은행을 포함해 이날 공시에 참여한 19개 은행 가운데 정책서민금융 제외 가계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곳은 전북은행(5.76%p)이었고, 토스뱅크(3.39%p)가 뒤를 이었다.
기업 대출까지 포함한 전체 은행의 예대금리차(대출금리-저축성수신금리)의 경우 5대 은행 중 농협은행(1.53%p)이 1위를 차지했다. 2위에는 신한은행(1.36%p)이 이름을 올렸다. 신규 대출이 아닌 대출 잔액 기준으로 5대 은행 가운데 정책서민금융을 제외한 가계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곳은 KB국민은행(2.54%p)으로 나타났다. 농협은행(2.45%p)·신한은행(2.38%p)·우리은행(2.18%p)·하나은행(2.08%p)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