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웨어러블 등 활용 가능
KIST가 개발한 스마트 의료용 기능성 섬유 기술 개념도.  KIST 제공
KIST가 개발한 스마트 의료용 기능성 섬유 기술 개념도. KIST 제공
사람이 활동하면서 발생하는 마찰이나 습기, 땀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스마트 의류를 만들 수 있는 섬유기술이 개발됐다. 의류형 전자기기나 웨어러블 기기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송현철 박사팀과 장지수 박사팀이 공동으로 마찰전기 섬유와 땀 전지 섬유를 직조해 다양한 습도 조건에서도 전기를 발생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의류용 섬유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인체 움직임에서 발생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섬유는 습도에 취약한 게 약점이다. 주변의 습기나 인체의 땀에 의해 전력 효율이 낮아진다. 땀 전지는 발생 전력이 작아 활용이 어려웠다.

연구팀은 탄성중합체에 설탕을 혼합해 녹이는 제조 공정을 통해 마찰전기 섬유의 마찰 표면적을 늘려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땀 전지 섬유에 이온 염과 파릴렌을 코팅해 발전 성능을 향상시켜 비대칭 습윤성을 유지하도록 했다. 이어 마찰전기 섬유와 땀 전지 섬유를 직조방식으로 결합해 습기에 취약하고 전력 효율이 낮은 한계를 극복한 스마트 의류용 기능성 섬유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마찰전기 섬유 1개와 땀 전지 섬유 36개(3개 병렬, 12개 직렬)로 구성된 의류용 섬유 두 개를 연결했다. 이를 통해 배터리 없이 인체의 움직임과 땀만으로 위치추적 센서를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 이 스마트 의류용 섬유는 단순 코팅 공정과 직조 기술만으로 대면적, 대량 생산이 가능해 제작 단가와 공정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아울러 10회 이상 반복 세탁 이후에도 전기에너지 발생 특성을 유지해 상용화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송현철 KIST 박사는 "소방관, 군인, 산악인 등 극한 환경에서 활동하는 종사자들을 위한 전원 공급원으로 활용이 기대된다"며 "스마트 의류에 적용해 다양한 신체 정보들을 제공하는 센서로 활용하기 위한 추가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에너지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즈'에 게재됐다.

이준기기자 bongchu@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마찰전기 섬유와 땀 전지 섬유를 직조해 습도 조건에서도 전기를 발생시키는 스마트 의류용 기능성 섬유를 개발했다.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마찰전기 섬유와 땀 전지 섬유를 직조해 습도 조건에서도 전기를 발생시키는 스마트 의류용 기능성 섬유를 개발했다. KIST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