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운전원 150명 투입
2025년까지지 208대 증차
서울시가 장애인 이동편의 개선을 위해 장애인콜택시와 바우처택시를 확대한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장애인 이동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콜택시와 바우처택시를 확대한다. 연내 단기운전원 150명을 투입하고, 2025년까지 208대를 증차해 대기시간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장애정도가 심해 보행이 어려운 장애인의 이동권 강화를 위해 이동수단 확충과 이용편의 개선계획을 마련, 오는 9월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이후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대기시간이 41분까지 늘어난 장애인콜택시의 대기시간을 30분대로 유지하기 위해 차량 증차와 추가 장애인이동 차량을 확충한다.
높은 이용수요 대비 절대적으로 부족한 장애인콜택시를 올해 말까지 30대 추가해 총 692대를 운영한다. 2025년까지 870대 확충을 목표로 잡았다. 장애인콜택시를 추가 확보할 수 있도록 택시업계와 협업해 '법인 특장택시' 30대도 10월부터 시범운행에 나선다.
평균 대기시간을 증가시키는 출퇴근시간대에 차량을 집중 배차하고 부족한 운전원 충원을 위해 150명 규모의 단시간운전원도 집중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전체 장애인콜택시 수요 증가에 대응해 비휠체어 장애인은 부족한 장애인콜택시 대신 임차택시, 바우처택시를 많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먼저 이동지원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비휠체어 장애인의 대체교통수단인 임차택시를 현재 54대에서 9월 120대까지 확대한다.
또 다른 주요 이동수단인 바우처택시 운행 규모도 늘린다. 9월부터 온다택시 6000대 참여 확보를 추진해 현쟁 운행대수 1600대에서 총 7600대로 대폭 늘린다.
바우처택시 요금도 장애인콜택시와 동일한 수준으로 낮춘다. 요금은 현행 거리당 2000~5000원에서 1500~3600원으로 줄어든다. 이용 횟수 제한도 1일 4회, 월 40회(1회 한도 3만원)에서 월 60회로 늘어난다.
시는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휠체어 장애인과 비휠체어 장애인을 분리해 차량을 배차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신청 접수처를 각회사별 콜센터에서 서울시설공단 이동지원센터까지 확대해 이용자들의 신청 편의도 높인다.
생활 이동 외에도 여가, 관광 등 장애인의 단체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 장애인 버스 도입 확대도 추진한다. 연내 휠체어 이용자 2명, 비휠체어 이용자 6명까지 탑승할 수 있는 소형버스 2대를 추가 도입해 단체 및 가족단위 여가에 차량을 지원한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장애인과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는 다양한 정책들이 유기적으로 작동돼야 그 실효성이 높아질 수 있다"며 "앞으로도 교통 이용환경 개선을 적극 추진해 약자와 동행하는 정책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남석기자 kns@dt.co.kr
2025년까지지 208대 증차

서울시는 장애정도가 심해 보행이 어려운 장애인의 이동권 강화를 위해 이동수단 확충과 이용편의 개선계획을 마련, 오는 9월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이후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대기시간이 41분까지 늘어난 장애인콜택시의 대기시간을 30분대로 유지하기 위해 차량 증차와 추가 장애인이동 차량을 확충한다.
높은 이용수요 대비 절대적으로 부족한 장애인콜택시를 올해 말까지 30대 추가해 총 692대를 운영한다. 2025년까지 870대 확충을 목표로 잡았다. 장애인콜택시를 추가 확보할 수 있도록 택시업계와 협업해 '법인 특장택시' 30대도 10월부터 시범운행에 나선다.
평균 대기시간을 증가시키는 출퇴근시간대에 차량을 집중 배차하고 부족한 운전원 충원을 위해 150명 규모의 단시간운전원도 집중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전체 장애인콜택시 수요 증가에 대응해 비휠체어 장애인은 부족한 장애인콜택시 대신 임차택시, 바우처택시를 많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먼저 이동지원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비휠체어 장애인의 대체교통수단인 임차택시를 현재 54대에서 9월 120대까지 확대한다.
또 다른 주요 이동수단인 바우처택시 운행 규모도 늘린다. 9월부터 온다택시 6000대 참여 확보를 추진해 현쟁 운행대수 1600대에서 총 7600대로 대폭 늘린다.
바우처택시 요금도 장애인콜택시와 동일한 수준으로 낮춘다. 요금은 현행 거리당 2000~5000원에서 1500~3600원으로 줄어든다. 이용 횟수 제한도 1일 4회, 월 40회(1회 한도 3만원)에서 월 60회로 늘어난다.
시는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휠체어 장애인과 비휠체어 장애인을 분리해 차량을 배차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신청 접수처를 각회사별 콜센터에서 서울시설공단 이동지원센터까지 확대해 이용자들의 신청 편의도 높인다.
생활 이동 외에도 여가, 관광 등 장애인의 단체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 장애인 버스 도입 확대도 추진한다. 연내 휠체어 이용자 2명, 비휠체어 이용자 6명까지 탑승할 수 있는 소형버스 2대를 추가 도입해 단체 및 가족단위 여가에 차량을 지원한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장애인과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는 다양한 정책들이 유기적으로 작동돼야 그 실효성이 높아질 수 있다"며 "앞으로도 교통 이용환경 개선을 적극 추진해 약자와 동행하는 정책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남석기자 kn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