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규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원내대책회의 후 취재진과 만나 "해야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어떻게 보면 (내년 총선 후엔 2년 할 수 있는 상임위원장을)1년 하고 못할 수도 있는 부분과 원하는 상임위를 할 수 있는 부분까지 생각하면 어떤 분에게는 상임위원장을 맡기는 것이 희생일 수 있다"면서 "또 저희 당이 수도권 중심이다보니 나이나 어려운 곳에서 하는 분들(지역) 등도 배려해야 한다"설명했다.
앞서 민주당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환경노동위·행정안전위·보건복지위·교육위·예산결산특별위 등 6곳의 상임위원장 인선을 고심해왔다. 당초 6곳의 상임위 중 예결위·산자위를 제외한 4곳의 상임위원장을 내정했으나, 당내 반발이 일면서 인선을 보류했다. 의원들은 쇄신이 필요한 시점인 만큼 장관 같은 고위 정무직이나 원내대표 등 주요당직을 했던 3선 이상의 의원이 맡는 관례보다는 새 인선 원칙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전날 당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최고위원회에 속한 지도부와 전직 장관 이상 고위 정무직, 전직 원내대표 등은 상임위원장 인선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일각에서는 교육위원장에 김철민 의원, 행정안전위원장에 김교흥 의원 등의 하마평도 나오는 상황이다.
민주당은 "수사개진만으로는 당직을 맡지 못하게 하는 것은 저희 원칙에 없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이상헌 의원이 경찰 조사를 받기 때문에 상임위원장 후보로 거론되는 게 부적절한 것 아니냐는 질문을 반박한 것이다.
김 원내대변인은 "저희가 경찰수사 착수 내지 혐의가 있는 사람까지 하면, 민주당에 20명이 넘는다는 것 아니냐"라면서 "그러면 그런 분들은 아무 일정도 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김경협 의원 같은 경우는 본인이 기소돼서 1심 유죄까지 받아, 상임위원장을 맡지 않는 것으로 원내지도부에서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임재섭기자 yjs@dt.co.kr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3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