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은 SKC와 서울 종로구 SKC 본사에서 '차세대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포괄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박원철 SKC사장과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총괄 부사장 등 양사 경영진들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리튬메탈음극재 등 차세대 음극 소재 공동개발, 소재 생산을 위한 공정기술 개발 등을 협력하기로 했다.
리튬메탈음극재는 동박에 리튬 금속을 도금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에너지밀도가 기존 흑연계 음극재(350㎃h/g) 대비 약 10배 수준인 3860㎃h/g에 달하는 고용량 소재로서 리튬이온배터리는 물론 향후 전고체배터리에 적용이 가능해 차세대 음극재로 각광받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2017년부터 리튬메탈음극재 분야에서 연구개발을 시작했으며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리튬메탈음극재 제조에 있어 동박 기술이 중요한 만큼 동박 제조 글로벌 1위인 SKC와 협력을 통해 리튬메탈음극재 상용화를 가속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양사는 이차전시소재의 핵심원료 공급에도 힘을 합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동박의 원료인 구리를 포함한 광물 트레이딩 경쟁력을 기반으로 SKC와 함께 안정적인 원료 공급망을 구축하겠다는 방침이다.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부사장은 "리튬메탈음극재 등 차세대음극재 역량뿐만아니라 리튬, 니켈 등 원소재, 양·음극재를 아우르는 이차전지 사업에서의 강점을 보유한 포스코그룹과 SKC의 협력으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상당한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상현기자 ishsy@dt.co.kr
30일 서울 종로구 SKC 본사에서 진행된 차세대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포괄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박원철(왼쪽부터) SKC 사장과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총괄 부사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 제공
이날 협약식에는 박원철 SKC사장과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총괄 부사장 등 양사 경영진들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리튬메탈음극재 등 차세대 음극 소재 공동개발, 소재 생산을 위한 공정기술 개발 등을 협력하기로 했다.
리튬메탈음극재는 동박에 리튬 금속을 도금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에너지밀도가 기존 흑연계 음극재(350㎃h/g) 대비 약 10배 수준인 3860㎃h/g에 달하는 고용량 소재로서 리튬이온배터리는 물론 향후 전고체배터리에 적용이 가능해 차세대 음극재로 각광받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2017년부터 리튬메탈음극재 분야에서 연구개발을 시작했으며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리튬메탈음극재 제조에 있어 동박 기술이 중요한 만큼 동박 제조 글로벌 1위인 SKC와 협력을 통해 리튬메탈음극재 상용화를 가속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양사는 이차전시소재의 핵심원료 공급에도 힘을 합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동박의 원료인 구리를 포함한 광물 트레이딩 경쟁력을 기반으로 SKC와 함께 안정적인 원료 공급망을 구축하겠다는 방침이다.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부사장은 "리튬메탈음극재 등 차세대음극재 역량뿐만아니라 리튬, 니켈 등 원소재, 양·음극재를 아우르는 이차전지 사업에서의 강점을 보유한 포스코그룹과 SKC의 협력으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상당한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상현기자 ishsy@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