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 제공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청년 고용시장이 얼어붙은 가운데 청년들은 여전히 대기업·공공기관 위주의 일자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청년구직자 300명을 대상으로 '청년세대 직장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4.3%가 대기업을 선호했다고 24일 밝혔다.

이어 공공기관, 공무원 등 공공부문(44.0%)과 중견기업(36.0%) 순이었다. 중소기업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15.7%에 그쳤다. 대기업·공공부문 선호 현상은 일자리 미스매치를 고착화하고, 청년층 일자리 사정을 더 어둡게 할 것으로 보인다.

고용노동부의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적극적 구인 활동에도 채용을 못한 미충원 인원이 18만5000명으로 역대 최대 수준이었다. 이는 대부분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93.7%)에서 발생했다. 반면 통계청의 4월 고용동향에서 청년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5만2000명 감소했다.

청년들은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해 '업무량 대비 낮은 처우'(63.3%), '워라밸 실현 어려움'(45.3%), '불투명한 미래성장'(43.7%), '낮은 고용안정성 우려'(39.3%), '사회적으로 낮은 인식'(37.0%) 등을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다.

직장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은 '임금과 복지수준'이 86.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워라밸'(70.0%), '안전성·업무강도 등 근무환경'(65.7%), '고용안정성'(57.0%), '기업위치'(44.0%) 등의 순이었다.

신입사원 희망 초봉은 3000만∼3500만원(39.0%)이 가장 많았고, 3000만원 미만(20.0%), 3500만∼4000만원(19.0%), 4000만∼4500만원(11.0%) 등이 뒤를 이었다.

최근 대기업 생산직 채용에 수만명의 청년 지원자가 몰린 이유도 높은 임금과 복리후생 때문이라는 응답(71.7%)이 가장 높았다. 그 외 '대기업 소속직원이라는 평판'(44.3%), '고용안정성'(37.3%). '근무시간 등 우수한 근무환경'(31.7%) 등을 꼽았다.

청년일자리 문제가 해소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근로조건 개선'(46.7%)이 우선적으로 돼야 한다는 것이 청년들의 생각이다. 이어 '경기활성화 정책'(40.7%), '노동시장 개혁'(33.3%), '기업투자 촉진'(24.7%), '일자리 미스매칭 해소'(23.0%) 등의 순이었다.

중소기업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78.0%가 '임금수준 향상'을 선택했다. '워라밸 보장'(62.0%) '수평적 조직문화 조성'(42.0%), '안전한 일터 조성'(39.0%) 등이 뒤를 이었다.

설문에 참여한 청년들 중 정부의 청년 일자리 지원정책 신청 비율은 15.0%에 그쳤다. 이들은 '정보를 찾기 어려워서'(29.2%), '신청해도 안 될 것 같아서'(29.2%) 등을 이유로 꼽았다.유일호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청년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적극적인 규제와 노동시장 개혁을 통해 기업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여력을 넓혀줘야 한다"고 말했다. 박은희기자 ehpark@dt.co.kr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