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단장이 발사 취소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항우연 제공
24일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단장이 발사 취소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항우연 제공
누리호 3차 발사가 24일 컴퓨터 간 통신 이상으로 중단된 가운데 발사 재개 시점에 관심이 쏠린다. 발사체 자체에 문제가 생긴 게 아니라 소프트웨어 이상으로 파악된 상황에서 이를 얼마나 빨리 해결하느냐에 따라 발사 재개일이 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고도화사업단장은 24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관리위원회 직후 가진 브리핑에서 "발사 제어 컴퓨터와 발사대 설비를 제어하는 컴퓨터 간 통신 이상이 발생해 오늘 예정된 누리호 3차 발사를 중단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누리호는 지난해 2차 발사 때도 6월 16일 발사 예정이었으나 발사 하루를 앞두고 실시한 점검에서 센서에 이상이 생겨 기립돼 있는 발사체를 내려 점검하느라 1주일 후인 21일 발사됐다.

고 단장은 "당장은 (통신 이상 문제) 원인을 파악하고 재발 방지를 하는 게 급선무다. 항우연 연구진과 소프트웨어 기업 기술진이 기립한 상태에서 원인을 찾고 있어 내일 오전 중 해결이 되면 발사를 다시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립해 있는 누리호에 탑재된 인공위성과 관련해선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일주일 정도 버틸 수 있고, 기립 상태에서 충전도 가능하다"며 "7기의 큐브위성은 이보다 더 길게 가능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음은 고 단장과 일문일답.

△어제 이상이 없었는데 오늘 이상이 발생한 이유는.

"전날 유공압 라인을 연결하고 작업을 종결했다. 이 라인이 연결돼야 오늘부터 기체에 가스를 공급하면서 추진 기관에 공급하는 부속품을 점검할 수 있는데, 점검을 하다 이상을 확인했다."

△언제까지 기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나.

"몇 가지 변수가 있는데 (기체를) 싣고 가는 위성이 견딜 수 있는 시간이 있고, 발사대 내부 위성을 보호하기 위해 깨끗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24시간 시스템을 가동 중인데 무한정은 안 되기 때문에 그런 부분도 보완해야 한다. 또 날씨라든지, 우주체와 충돌할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봐서 결정해야 한다. 당장은 원인을 파악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취하는 게 급선무다. 내일 오전까지 정리되면 이르면 내일 발사 시도를 할 수 있겠다."

△이전 점검 과정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한 적이 있나. 내일 발사가 어렵다면 다른 후보일은 언제인가. 시간도 변경되나.

"여러 번 리허설을 했지만 오늘 문제는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았던 것이다. 내일 다시 진행하면 동일하게 오후 6시 24분 중심으로 발사를 운용할 것 같다."

△기립한 상태에서 얼마나 더 대기할 수 있나.

"1주일 정도는 버틸 수 있다. 필요하면 발사대에서 기립한 상태로 차세대 (위성) 2호는 충전도 가능하다. 큐브는 확인해봐야 하는데 이보다 더 길 것으로 본다."

△누리호는 어떤 상태인가. 연료와 산화제 충전은 어떻게 하나.

"아직 연료와 산화제는 들어가지 않았다. 추진 기관을 점검하면 산화제 공급을 위한 냉각 작업을 하는데 그 직전에 멈춘 상태다."

△기립 과정에 문제가 없었는데 왜 문제가 발생했나. 이전에는 조립동으로 이동해 점검했는데 이번에는 기립 상태에서 점검해도 되나.

"발사체에 워낙 많은 부품이 있다. 발사대에도 수만가지 부품이 있고 그것을 운영하기 위한 여러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운영한다. 그래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늘 있다.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데 대충 무마하고 가다가는 잘못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철저히 보완하고 발사를 진행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난번과 다른 점은, 지난번에는 발사체 안에 있는 센서가 고장 나서 이를 교체하기 위해 조립동으로 이동시켜야 했는데 지금은 발사체를 운영하는 컴퓨터 간의 문제라 발사체를 세워둔 채로 작업할 수 있다."

△통신장비 문제인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통신장비만 문제가 아닐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문제일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끼리 돌아가면서 데이터 커맨드를 주고받는데 그게 거쳐 지나가는 장비의 문제일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모두 점검해야 한다."

△저온헬륨밸브를 언급했는데 밸브는 문제없나.

"압력을 빼는 밸브를 수동으로 조작해도 동작하는 것을 봤을 때 밸브 하드웨어 문제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24일 오후 나로우주센터에서 오태석 과기정통부 1차관이 발사 취소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항우연 제공
24일 오후 나로우주센터에서 오태석 과기정통부 1차관이 발사 취소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항우연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