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IT에 '개방'이란 키워드를 도입해 오픈 이노베이션 흐름을 만들어낸 레드햇이 다음 키워드로 AI(인공지능)를 들고 나왔다. 오픈소스의 개방성에 클라우드의 확장성을 더한 데 이어 생성형 AI의 생산성과 지능을 입혀 기업의 DX(디지털전환) 파괴력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레드햇은 23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연례 컨퍼런스 '레드햇 서밋 2023'을 열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반에서 생성형 AI 도입을 돕는 '레드햇 오픈시프트 AI'를 발표했다.
레드햇 오픈시프트 AI는 AI·머신러닝 개발과 운영을 위한 표준 플랫폼이다. 기업의 지능형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확장하도록 돕는 IBM의 AI 플랫폼인 '왓슨x.ai'의 생성형 AI 서비스를 지원해 차세대 기반모델 구축을 돕는다.
플랫폼 엔지니어는 이를 이용해 데이터 과학자나 개발자의 요구에 따라 확장 가능한 설정을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모델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초기 모델 학습 비용을 줄이고 서비스 구현에 드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전문 데이터 과학자 이상으로 AI 사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레드햇은 아나콘다 커머셜 에디션, IBM 왓슨 스튜디오, 인텔 오픈비노와 AI 분석 툴킷, 파키덤, 스타버스트 갤럭시 등 기술 파트너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 오픈시프트 에코시스템을 통해 30개 AI·ML 인증 파트너 솔루션에 접근하게 해 준다.
레드햇 관계자는 "고객들은 오픈시프트 AI를 사용해 데이터를 준비하고 모델을 개발해 학습시키고 온프레미스에서 배포할 수 있다. 또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온프레미스나 엣지에서 일관된 툴과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배포할 수 있다"면서 "이는 IT 운영, 데이터 과학,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협력하는 독특한 하이브리드 ML옵스 환경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또 하나의 특화된 기능은 '앤서블 라이트스피드'다. 오픈소스 IT 자동화 툴인 '앤서블'에 생성AI 도구인 '라이트스피드'를 적용했다. 레드햇은 모회사인 IBM과 협력해 개발한 라이트스피드를 통해 앤서블 사용자들이 IT 자동화 프로세스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초보 사용자는 쉽게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고 숙련자는 낮은 수준의 작업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 자연어 처리에 기반한 앤서블 라이트스피드는 올 하반기 정식 출시 예정인 IBM '왓슨 코드 어시스턴트'와 통합돼 IBM 기본모델에 액세스하고, 자동화 코드를 신속하게 만들어 준다.
아셰시 바다니 레드햇 제품담당 수석부사장은 "혁신은 항상 사람이 중심이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앤서블 라이트스피드는 개발자와 운영자가 새로운 방식으로 자동화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기존 지식을 활용해 비전을 실현하도록 지능적이면서도 이해하기 쉬운 기술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레드햇은 SW 공급망 취약성에 대한 복원력을 강화하는 솔루션인 '레드햇 트러스티드 소프트웨어 서플라이 체인'도 내놨다. 데브섹옵스(DevSecOPs) 도입을 촉진하고 SW 개발 라이프사이클 모든 단계에 보안을 지원한다. 개발 프로세스를 간소화하도록 설계된 기업용 통합 개방형 포털인 레드햇 개발자 허브도 발표했다.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백스테이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개발자 허브 플랫폼은 개발자들이 고품질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큐레이션된 도구와 리소스를 제공한다. 안경애기자 naturean@dt.co.kr
레드햇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연례 컨퍼런스 '레드햇 서밋 2023'을 열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반에서 생성형 AI 도입을 돕는 기술을 선보였다. 레드햇 제공
크리스 라이트 레드햇 CTO가 23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연례 컨퍼런스 '레드햇 서밋 2023'에서 주요 신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레드햇 제공
맷 힉스 레드햇 CEO가 23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연례 컨퍼런스 '레드햇 서밋 2023'에서 사업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레드햇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