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주현(사진) KB금융그룹 클라우드센터장 겸 KB국민은행 클라우드플랫폼본부장은 26일 AWS(아마존웹서비스)가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KB금융그룹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반 DX(디지털전환)를 추진하고 있다. 2020년 KB국민은행 프라이빗 클라우드 '더케이클라우드'를 구축한 데 이어 2021년 AWS 퍼블릭 클라우드를 도입하고 전 계열사 대상으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KB원클라우드'를 오픈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해 챗봇을 비롯한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했다.
김 본부장은 "2018년부터 클라우드의 민첩성과 유연성 등에 주목해 DX 전략을 세우고 실행해왔고, 애자일 문화 확산도 추진했다"면서 "망분리 등 금융권 규제에 따른 개발 생산성과 효율성 저하를 막기 위해 지난해부터 '퍼블릭 샌드박스'도 마련했다. 먼저 은행에 적용한 데 이어 전 계열사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클라우드 전환 과정이 순탄하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사용량에 따른 과금 체계는 온프레미스(자체 구축 방식) 인프라 운영과는 다른 고민을 안겨줬다. 김 본부장은 "서비스를 만들고 적용할 때까진 비용이 크게 이슈가 안 됐는데, 막상 운영단계가 되니 예산이 정해진 기존 구축형 사업과는 다른 측면이 부각됐다"며 "클라우드가 비용이 더 적게 들 거라고 인식한 상황에서 예상치 못했던 비용 발생 시 해결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했다.
KB금융그룹은 쓴 만큼 내는 클라우드의 특성에 초점을 맞춰 돌파구를 찾았다. 그는 "낭비 요소를 최소화해야 한다. 불필요한 자원을 없애고 과도한 스펙은 낮추며, 너무 많은 요소로 구성된 게 있는지도 찾아냈다"면서 "금융업은 안정성이 중요하다 보니 서비스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으나, 클라우드 환경에 맞게 사용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게 매우 중요함을 느꼈다"고 덧붙였다.
그 과정에서 AWS의 지원이 도움이 됐다. AWS의 SBR(전략사업리뷰)을 통해 KB의 사업별 비용분석 및 비용절감 방안이 제시됐고, WAR(웰아키텍처드리뷰)을 통해선 AWS가 KB의 마이데이터 관련 약점을 분석해 개선점을 도출했다. 그 결과를 반영해 내재화할 수 있도록 돕는 CFM(클라우드금융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올해 KB금융그룹은 DR(재해복구)과 관련해 AWS의 '멀티AZ' 개념을 도입해 고가용성 확보를 추진한다. DR센터를 따로 구분하는 게 아니라 모든 자원을 활용해 장애 발생 시 어디서든 즉각 서비스를 재개할 수 있는 체계다.
김 본부장은 "AWS의 지원 등을 통해 실무자들이 효율적인 클라우드 활용을 위해 실제 필요한 기술을 체득하고 관련 경험을 바탕으로 방향성을 갖추게 됐다"며 "앞으로도 클라우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려 한다. AWS와 협업하며 기술 내재화도 이루면서 DX를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팽동현기자 dhp@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