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센터는 데이터 정책수립, 데이터 활용, 기술지원 등 데이터의 생산·수집·유통·활용을 지원하는 '데이터통합지원센터'와, 공공데이터 개방·활용·품질관리를 지원하는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로 구성됐다. △데이터산업지원 전문기관 △AI허브안심존 △데이터결합지원센터 △데이터기반행정 전문기관 △데이터아카데미 △본인정보제공지원센터 등이 함께 입주한다.
센터는 공공과 민간을 아우르는 데이터를 개방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서비스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초거대AI(인공지능) 기술 선도를 위한 AI학습용 데이터 구축과 빅데이터 제공을 통해 산업 생태계 혁신과 글로벌 진출도 돕는다. AI기술 확대에 따른 사회 윤리적 가치를 정립하고 개인정보 침해 없이 안전한 데이터 활용이 가능하도록 관련 역할도 수행할 예정이다. 황종성 NIA 원장은 "데이터통합혁신센터는 흩어져 있던 데이터 산업의 역할과 기능을 아우르는 대한민국 데이터 경제의 심장으로, 국가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선도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팽동현기자 dhp@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